About: dbkwik:resource/-kmLOgNRrwMh0Avi4c3Qaw==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134.155.108.49:8890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 담징
rdfs:comment
  • 담징 [曇徵,579(평원왕 21)~ 631(영류왕 14) ]은 고구려의 승려이자 화가, 610년 백제를 거쳐 일본으로 건너가 불법을 강론하고 채화 및 먹, 종이 등의 제조법을 전해 주었다. 고구려 출신의 승려·화가 담징은 610년(영양왕 21)에 백제를 거쳐 일본에 건너가 채색(彩色)·지묵(紙墨)·연자방아[碾磑]의 제작 방법을 전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승려 호오조[法定]와 함께 나라[奈良]에 있는 호류사[法隆寺]에 머물면서, 오경(五經)과 불법 등을 강론하고 금당 벽화(金堂)를 그렸다. 석가(釋迦)·미륵(彌勒)·아미타(阿彌陀)·약사(藥師) 등으로 구성된 사불정토도(四佛淨土圖)인 이 금당 벽화는 1949년 1월 수리중에 불타버리고, 현재는 모사화(模寫畵) 일부가 남아 있다. 불이 나서 타버리기 전까지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했던 서대벽(西大壁) 6호 벽화 아미타정토의 삼존상(三尊像)과 동남(東南) 2호 벽화 일광보살상(日光菩薩像)은 호류사 벽화 가운데에서도 가장 화려하고 아름다운 작품이었으며, 또 아미타정토의 삼존상을 그린 위와 아래에는 20여 체의 작은 연화화생보살(蓮華化生菩薩)이 배치되어 있었다.
dcterms:subject
abstract
  • 담징 [曇徵,579(평원왕 21)~ 631(영류왕 14) ]은 고구려의 승려이자 화가, 610년 백제를 거쳐 일본으로 건너가 불법을 강론하고 채화 및 먹, 종이 등의 제조법을 전해 주었다. 고구려 출신의 승려·화가 담징은 610년(영양왕 21)에 백제를 거쳐 일본에 건너가 채색(彩色)·지묵(紙墨)·연자방아[碾磑]의 제작 방법을 전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승려 호오조[法定]와 함께 나라[奈良]에 있는 호류사[法隆寺]에 머물면서, 오경(五經)과 불법 등을 강론하고 금당 벽화(金堂)를 그렸다. 석가(釋迦)·미륵(彌勒)·아미타(阿彌陀)·약사(藥師) 등으로 구성된 사불정토도(四佛淨土圖)인 이 금당 벽화는 1949년 1월 수리중에 불타버리고, 현재는 모사화(模寫畵) 일부가 남아 있다. 불이 나서 타버리기 전까지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했던 서대벽(西大壁) 6호 벽화 아미타정토의 삼존상(三尊像)과 동남(東南) 2호 벽화 일광보살상(日光菩薩像)은 호류사 벽화 가운데에서도 가장 화려하고 아름다운 작품이었으며, 또 아미타정토의 삼존상을 그린 위와 아래에는 20여 체의 작은 연화화생보살(蓮華化生菩薩)이 배치되어 있었다. 이 작품은 특히 입체감을 잘 강조하고 있었다. 그가 그린 금당벽화는 중국의 윈강 석불[雲崗石佛], 경주 석굴암 등과 함께 동양 최고의 3대 미술품의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7세기 고구려승 담징의 걸작으로 알려진 일본 호류지 금당 벽화 12폭을 대면하는 순간들은 긴장과 희열의 연속이다. 실제 그림은 1940년대에 불나서 타버렸다. 분류:법륭사 분류:화가 분류:장진자 분류:전민변정도감 분류:담징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