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경성 읍성(鏡城邑城)은 함경북도 경성에 있는 읍성이다. 경성 남문 (鏡城南門)은 석축(石築) 위에 지은 2층누각의 조선 중기의 성문이다. 규모는 축대가 길이 16.5m, 너비 11m, 높이 7m이고, 문루는 1층이 앞면 5칸(13.5m), 옆면 3칸(8.05m)이며, 2층이 앞면 4칸, 옆면 2칸이다. 성읍성을 쌓은 해인 1107년에 세웠으며, 1433년에 크게 고쳤다. 1616∼1672년 사이에 성을 더 크게 고쳐 쌓으면서 이 문도 다시 세웠다. 그 뒤에도 여러 차례 보수를 하였으며 1756년에 고쳐 세웠으나 1950년에 파괴되었다. 지금 건물은 전쟁이 끝난 뒤에 보수한 것이다. 전체의 구성은 돌로 쌓은 대(臺)와 그 위에 세운 2층 문루(門樓)로 이루어져 있다. 축대는 돌을 다듬어 정연하게 쌓았다. 바깥벽은 성벽과 같이 굽도리 부분에서 안으로 조금씩 올려 쌓다가 중허리에 이르러 직선으로 쌓았고, 그 윗부분은 다시 밖으로 내밀어 쌓았다.
|
abstract
| - 경성 읍성(鏡城邑城)은 함경북도 경성에 있는 읍성이다. 경성 남문 (鏡城南門)은 석축(石築) 위에 지은 2층누각의 조선 중기의 성문이다. 규모는 축대가 길이 16.5m, 너비 11m, 높이 7m이고, 문루는 1층이 앞면 5칸(13.5m), 옆면 3칸(8.05m)이며, 2층이 앞면 4칸, 옆면 2칸이다. 성읍성을 쌓은 해인 1107년에 세웠으며, 1433년에 크게 고쳤다. 1616∼1672년 사이에 성을 더 크게 고쳐 쌓으면서 이 문도 다시 세웠다. 그 뒤에도 여러 차례 보수를 하였으며 1756년에 고쳐 세웠으나 1950년에 파괴되었다. 지금 건물은 전쟁이 끝난 뒤에 보수한 것이다. 전체의 구성은 돌로 쌓은 대(臺)와 그 위에 세운 2층 문루(門樓)로 이루어져 있다. 축대는 돌을 다듬어 정연하게 쌓았다. 바깥벽은 성벽과 같이 굽도리 부분에서 안으로 조금씩 올려 쌓다가 중허리에 이르러 직선으로 쌓았고, 그 윗부분은 다시 밖으로 내밀어 쌓았다. 축대의 복판에는 너비 2.7m, 길이 7.4m, 높이 약 3m의 무지개문을 냈다. 무지개문은 축대 바깥면에서 2.7m 안에 들여놓아 그 양 옆벽이 옹성(壅城)의 구실을 하도록 하였는데, 이것은 축대 구조상 특이한 점의 하나이다. 좌우 벽은 잘 다듬은 댓돌로 쌓고 그 천장 부분은 벽돌을 무지개 모양으로 쌓아 올렸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1756년 이 문을 보수할 때 돌을 벽돌로 바꾸어놓은 것이라고 한다. 문에는 큰 쌍닫이 널짝문이 달려 있었고 문짝은 두터운 널에 쇳조각을 붙여 튼튼하게 만든 것이었으나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축대 위에는 성가퀴를 돌리고 그곳에 활을 쏘는 구멍을 뚫어놓았는데, 평평한 구멍과 경사진 구멍을 교차시켜 멀리 있는 적이나 가까이에 침투한 적을 마음대로 쏠 수 있게 하였다. 축대 위에 세운 문루는 익공식 두공을 올리고 겹처마를 한 합각지붕을 이은 2층 건물로서, 2층의 평면은 1층보다 사방 한 칸씩 줄였다. 보통 문루들에서는 1층 면적에 대한 2층 면적의 비율이 0.51:0.75인 데 비하여 여기서는 0.38로 하였다. 기둥은 아래를 위보다 좀 굵게 한 흘림기둥을 쓰고, 네 모서리의 기둥은 다른 기둥들보다 조금 높이면서 안쪽으로 기울여 세웠다. 이것은 건물 전체의 균형을 바로잡고 안정되게 보이게 하면서도 강도를 높인 훌륭한 방법이다. 건물 안 가운데는 4개의 통기둥을 세워 2층 지붕을 직접 떠받들게 함으로써 건물 안을 시원하게 하였다. 두공은 위층을 4익공, 아래층을 3익공으로 하였으며, 문루에 익공식 두공을 쓰고 그 단수를 4익공으로 높인 것은 극히 드문 것으로 문루의 아름다움과 웅장함을 함께 갖추려 한 것 같다. 아래 위층의 액방(額房) 위에는 화반을 놓았으며 가운데칸에는 3개씩, 좌우칸에는 1개씩 놓았다. 지붕의 마루들과 지붕면에는 완만한 곡선을 주고 문루에는 아름다운 모루단청을, 기둥에는 붉은색을 칠하였다. 이 문은 우리나라 북방의 요충이던 경성 읍성의 성문들 가운데서도 제일 중요한 성문이었으며, 북쪽으로 동북 국경지방과 남쪽으로 함흥 방면으로 통하는 길목을 지켜선 평지의 성인 경성 읍성의 문으로서, 군사전략상 중요하며 교통이 매우 편리한 곳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