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조간대(潮間帶)는 만조 때의 해안선과 간조 때의 해안선 사이의 부분이다. 조간대의 바닷물은 달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들어왔다 나갔다’를 하루 2번 반복한다. 만조선에서 간조선에 이르는 기수 지역에 띠모양으로 분포한다. 조간대는 조석 간만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지역이다. 조간대는 들어나는 바닥의 종류에 따라 크게 암반 조간대, 모래 조간대, 펄 조간대 등 세가지 유형이 있다. 만조 때에는 바닷물에 잠기고 간조 때에는 공기에 드러나는 등 생물에 있어서는 혹독한 환경이 되는 곳이다. 갯녹음 백화현상이 가장 극심하다. 기장 대변항 방파제와 송도 해수욕장 옆 방파제와 해운대 미포 방파제 옆 조간대 갯바위로는 석회가 눈 온 것처럼 쌓인다. 그런데 4월말이나 5월초부터는 바다에서 석회가 녹기 시작한다. 파래과에 속하는 매생이는 김, 파래, 미역, 다시마 등 해초류로서 해안의 조간대 상부 바위에서 자라며 단맛이 있어 파래보다 맛이좋다. 철분 ,칼슘, 요오드 성분이 풍부하고 변비에도 좋다. 정부는 1999년 제7차 람사르 당사국총회에서 필리핀과 함께 “조간대 습지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강화하자”는 결의안을 제안해 통과시켰다.
|
abstract
| - 조간대(潮間帶)는 만조 때의 해안선과 간조 때의 해안선 사이의 부분이다. 조간대의 바닷물은 달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들어왔다 나갔다’를 하루 2번 반복한다. 만조선에서 간조선에 이르는 기수 지역에 띠모양으로 분포한다. 조간대는 조석 간만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지역이다. 조간대는 들어나는 바닥의 종류에 따라 크게 암반 조간대, 모래 조간대, 펄 조간대 등 세가지 유형이 있다. 만조 때에는 바닷물에 잠기고 간조 때에는 공기에 드러나는 등 생물에 있어서는 혹독한 환경이 되는 곳이다. 갯녹음 백화현상이 가장 극심하다. 기장 대변항 방파제와 송도 해수욕장 옆 방파제와 해운대 미포 방파제 옆 조간대 갯바위로는 석회가 눈 온 것처럼 쌓인다. 그런데 4월말이나 5월초부터는 바다에서 석회가 녹기 시작한다. 다판류는 대개 조간대의 바위 위에 서식하며, 치설을 이용하여 조류(藻類)나 바위 표면에 사는 다른 생물들을 긁어 먹는다. 물레고둥이(골뱅이)는 알이 크고 모양도 일정하다. 또한 육질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편이다. 맛이 좋아 식용으로 사용하고, 조간대에서 수심 200m 사이의 바위에 서식한다. 홍합은 조간대 아래의 10미터 근방의 암초에 붙어 사는 조가비이다. 진주담치와 비슷하나 껍질이 두껍고, 보라색을 띠는 검은색이다. 파래과에 속하는 매생이는 김, 파래, 미역, 다시마 등 해초류로서 해안의 조간대 상부 바위에서 자라며 단맛이 있어 파래보다 맛이좋다. 철분 ,칼슘, 요오드 성분이 풍부하고 변비에도 좋다. 정부는 1999년 제7차 람사르 당사국총회에서 필리핀과 함께 “조간대 습지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강화하자”는 결의안을 제안해 통과시켰다. 두무진의 규암층은 두께가 650~700m에 이른다. 조간대에 흘러든 모래가 퇴적한 뒤 땅속에 묻혀 사암이 되고, 지하 깊은 곳에서 고온과 고압을 받아 변성돼 규암이 됐다. 분류:조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