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상건이라 불린다는 복두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주로 사용했다. '절상건(익선관)'은 조선의 왕들이 썼던 그것. 절상건은 송나라 때, 익선관은 명나라 때의 명칭이다. 후주에서는 세 척의 검은 비단으로 머리를 뒤로 싸매어 절상건이라 하였는데 복두라고 통칭하는 것이다. 복두는 중국기원으로 처음에는 절상건(折上巾)이라고도 하였다. 이 명칭으로 보아 복두는 건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우리고유의 관모인 소골, 절풍 대신 진골에서 평민에 이르기 까지 일률적으로 복주를 썼는데 이것은 당나라의 절상건에서 나온것으로 여겨지며 단석산 공양인물도에서 복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절상건이라 불린다는 복두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주로 사용했다. '절상건(익선관)'은 조선의 왕들이 썼던 그것. 절상건은 송나라 때, 익선관은 명나라 때의 명칭이다. 후주에서는 세 척의 검은 비단으로 머리를 뒤로 싸매어 절상건이라 하였는데 복두라고 통칭하는 것이다. 복두는 중국기원으로 처음에는 절상건(折上巾)이라고도 하였다. 이 명칭으로 보아 복두는 건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우리고유의 관모인 소골, 절풍 대신 진골에서 평민에 이르기 까지 일률적으로 복주를 썼는데 이것은 당나라의 절상건에서 나온것으로 여겨지며 단석산 공양인물도에서 복두의 모습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