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습은 1455년에 있었던 세조에 의한 단종 폐위사건의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공부를 하던 삼각산(三角山) 중흥사(重興寺)를 떠나 승려가 되었다. 조선 세조가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탈취하자 세상에 뜻이 없어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사람으로서 사육신의 대칭으로 생육신이라 하는데, 김시습(金時習)·원호(元昊)·이맹전(李孟專)·조려(趙旅)·성담수(成聘壽)·나효온(南孝溫)이다. 사육신이 절개로 생명을 바친 데 대하여 이들은 살아 있으면서 귀머거리나 소경인 체, 또는 방성통곡하거나 두문불출하며, 단종을 추모하였다. 법명(法名)을 설잠(雪岑)으로 한 김시습은 관서지방(關西地方)과 관동지방(關東地方) 그리고 호남지방(湖南地方)을 유랑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영남지방을 돌다가 경주의 금오산 용장사에 정착하였다. 그의 나이 31세부터 37세에 이르는 7년의 기간이었다. 또한 설잠은 은적골의 은적암에 있다가 용장사로 옮겼다고도 하는데, 용장사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금오신화(?鰲神話)』를 집필하였다.
김시습은 1455년에 있었던 세조에 의한 단종 폐위사건의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공부를 하던 삼각산(三角山) 중흥사(重興寺)를 떠나 승려가 되었다. 조선 세조가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탈취하자 세상에 뜻이 없어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사람으로서 사육신의 대칭으로 생육신이라 하는데, 김시습(金時習)·원호(元昊)·이맹전(李孟專)·조려(趙旅)·성담수(成聘壽)·나효온(南孝溫)이다. 사육신이 절개로 생명을 바친 데 대하여 이들은 살아 있으면서 귀머거리나 소경인 체, 또는 방성통곡하거나 두문불출하며, 단종을 추모하였다. 법명(法名)을 설잠(雪岑)으로 한 김시습은 관서지방(關西地方)과 관동지방(關東地方) 그리고 호남지방(湖南地方)을 유랑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영남지방을 돌다가 경주의 금오산 용장사에 정착하였다. 그의 나이 31세부터 37세에 이르는 7년의 기간이었다. 또한 설잠은 은적골의 은적암에 있다가 용장사로 옮겼다고도 하는데, 용장사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금오신화(?鰲神話)』를 집필하였다. 그는 용장사에 있으면서도 영월에 귀양가 있는 단종을 못 잊어 뜨락에 핀 꽃을 보며 슬퍼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그 꽃을 북향화(北向花)라 하였는데 꽃은 목련으로 추측된다. 김시습은 성종 2년(1471)에 경주를 떠났으며, 1482년에 승복을 벗고 속세로 환속하였다가 다시 출가하였으며 59세를 일기로 홍산(鴻山) 무량사(無量寺)에서 1493년 세상을 떠났다. 후일 현종 11년(1670)에 경주부윤 민주면(閔周冕)이 경주 유림들과 의논하여 용장사에 매월당(梅月堂)을 세워 영정을 봉안하고 승도(僧徒)들을 모아 이를 수호하며 유림(儒林)과 함께 향사(享祀)를 받들었다. 분류:용장 분류:금오 신화 분류:생육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