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대류권 계면 (對流圈界面)은 지구 대기권에서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 영역을 나타낸다. 대류권은 지구 대기권에서 가장 낮은 층이며, 날씨라고 불리는 기상 현상이 발생하는 곳이다. 대류권은 지표면에서 시작하며, 높이는 위도에 따라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대류권의 높이는 극지방에서는 평균 6 km 로 매우 낮으며, 적도 지방에서는 16-18 km에 이른다. 이 이상의 높이는 성층권이며, 대류권과 성층권 사이의 영역이 대류권 계면이 되는 것이다. 성층권은 대류권 계면에서 시작하며, 적도 지방의 경우 지표면으로부터 50 km 정도까지의 영역이다. 성층권에는 오존층이 존재한다. 대류권에서 온도는 고도가 상승함에 따라 급격히 하강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해서 대류권이 좀 더 두꺼운 적도 지방의 대류권 계면에서의 온도(-75°C 가량)가 극지방의 대류 권계면에서의 온도(-45°C 가량)보다 낮게 된다. 세계기상기구의 대류권 계면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단열 감률이 2 °C/km이하로 떨어지는 최저 고도. 단 위로 2 km 이내의 단열 감률 또한 평균 2 °C/km를 넘어서는 안 됨.
|
abstract
| - 대류권 계면 (對流圈界面)은 지구 대기권에서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 영역을 나타낸다. 대류권은 지구 대기권에서 가장 낮은 층이며, 날씨라고 불리는 기상 현상이 발생하는 곳이다. 대류권은 지표면에서 시작하며, 높이는 위도에 따라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대류권의 높이는 극지방에서는 평균 6 km 로 매우 낮으며, 적도 지방에서는 16-18 km에 이른다. 이 이상의 높이는 성층권이며, 대류권과 성층권 사이의 영역이 대류권 계면이 되는 것이다. 성층권은 대류권 계면에서 시작하며, 적도 지방의 경우 지표면으로부터 50 km 정도까지의 영역이다. 성층권에는 오존층이 존재한다. 대류권에서 온도는 고도가 상승함에 따라 급격히 하강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해서 대류권이 좀 더 두꺼운 적도 지방의 대류권 계면에서의 온도(-75°C 가량)가 극지방의 대류 권계면에서의 온도(-45°C 가량)보다 낮게 된다. 대류권 계면의 위치는 대류권과 성층권에서의 단열 감률(온도의 감소율)을 측정하는 것으로 알아낼 수 있다. 대류권에서의 단열 감률은 평균 6.5 °C / 킬로미터이다. 즉 매 킬로미터 고도가 상승할 때마다 6.5도의 온도가 감소하는 것이다. 반면 성층권에서의 단열 감률은 음수이며, 음수값의 의미는 온도가 고도에 따라 상승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류권 계면이란 단열 감률이 양수에서 음수로 바뀌는 지점, 즉 고도에 따라 온도가 감소하다가 증가하기 시작하는 영역이다. 대류권계면은 높이에 따라 온도가 낮아지다가 증가하게 되는 경계면 높아질수록 점점 낮아지던 온도는 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층이 자외선을 흡수하면서 온도를 높여주기 때문에 점점 높아지게 된다. 세계기상기구의 대류권 계면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단열 감률이 2 °C/km이하로 떨어지는 최저 고도. 단 위로 2 km 이내의 단열 감률 또한 평균 2 °C/km를 넘어서는 안 됨. 단열 감률에 의한 정의 이외에도 잠재 소용돌이(potential vorticity)에 의한 대류권 계면의 정의도 있다.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수치에 대한 정의는 없으나, 많은 경우에 대류권 계면은 2 PVU 나 1.5 PVU 표면에 있다고 언급된다. 여기서 PVU는 잠재 소용돌이 단위를 나타낸다. 대류권 계면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경계면이 아니다. 예로 적도 근방에서 생겨난 강력한 폭풍우는 하부 성층권에 격렬한 충격파를 전하며, 이는 몇 시간 단위의 저주파 진동을 유발한다. 이러한 세로축의 진동은 대기 및 해류에 영향을 미치는 저주파 대기 파열(波列, wave train)을 형성한다. 적도 지방에서 생성된 적란운은 가끔 이 대류권계면을 관통하여 성층권 내부로 들어간다. 제트기류가 위치하는 곳에서 대기의 섭동에 의해 대류권계면 접힘 (tropopause folding) 현상이 나타난다. 전량의 90%가 존재하는 성층권에서 다량의 오존이 대류권으로 유입되기도 한다. 화산재가 대류권계면을 뚫고 위쪽은 뜨겁고 아래쪽은 차가워 대기가 비교적 안정적인 성층권까지 올라갈 경우 태양빛을 가려 온도가 하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