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민애왕(閔哀王,敏哀王,817년~839(민애왕 2))은 신라 제44대 왕(838~839 재위)이다. 성은 김씨, 이름은 명(明). 원성왕(元聖王)의 증손이고, 대아찬(大阿飡) 충공(忠恭)의 아들이다. 여러 관직을 거쳐 상대등이 되었는데, 시중 이홍과 함께 왕을 핍박하여 죽이고 스스로 즉위하여 왕이 되었다. 할아버지는 원성왕의 큰 아들로 혜충태자(惠忠太子)로 봉해졌다가 왕위에 오르지 못하였다. 835년(흥덕왕 10) 대아찬으로 시중(侍中)이 되었다. 836년 제륭(悌隆)과 균정(均貞)이 왕위를 다툴 때, 제륭을 도와 왕(僖康王)이 되게 하였다. 내란에서 승리하여 왕이 된 이는 희강왕. 그러나 희강왕은 내란때 같은 편이었던 민애왕이 일으킨 쿠데타로 자살하고 만다. 이렇게 되자 희강왕과 싸워서 패했던 김우징은 기회가 왔다고 생각했다. 우징(祐徵)은 청해진대사(淸海鎭大使) 장보고(張保皐)와 김주원(金周元)의 후손 김양(金陽)의 도움을 받아 민애왕을 살해하고, 왕위에 올라 신무왕이 되었다. 김양은 우징을 받들어 민애왕의 뒤를 잇게 하니 바로 신라 제45대 신무왕이며, 신무왕의 뒤를 이어 그 아들인 문성왕을 다시 받들었다.
|
abstract
| - 민애왕(閔哀王,敏哀王,817년~839(민애왕 2))은 신라 제44대 왕(838~839 재위)이다. 성은 김씨, 이름은 명(明). 원성왕(元聖王)의 증손이고, 대아찬(大阿飡) 충공(忠恭)의 아들이다. 여러 관직을 거쳐 상대등이 되었는데, 시중 이홍과 함께 왕을 핍박하여 죽이고 스스로 즉위하여 왕이 되었다. 할아버지는 원성왕의 큰 아들로 혜충태자(惠忠太子)로 봉해졌다가 왕위에 오르지 못하였다. 835년(흥덕왕 10) 대아찬으로 시중(侍中)이 되었다. 836년 제륭(悌隆)과 균정(均貞)이 왕위를 다툴 때, 제륭을 도와 왕(僖康王)이 되게 하였다. 내란에서 승리하여 왕이 된 이는 희강왕. 그러나 희강왕은 내란때 같은 편이었던 민애왕이 일으킨 쿠데타로 자살하고 만다. 이렇게 되자 희강왕과 싸워서 패했던 김우징은 기회가 왔다고 생각했다. 염장을 비롯해 장변, 정년, 낙금, 장건영, 이순행 등을 거느리고 진주했다. 1만의 군사를 이끌고 진군해 온다는 소식을 들은 대궐은 발칵 뒤집혔다. 당황한 민애왕이 그 소식을 접하고 대감 김민주(金敏周)에게 군사 3천을 안겨 장보고의 군대를 막도록 했다. 정부군의 반 이상이 죽었다. 민애왕은 서쪽 교외의 큰 나무 밑에서 이 광경을 보고 있었다. 그가 문득 주변을 돌아보았을 때 측근들은 모두 도망가고 없었다. 또는 839년 대구에서 장보고의 기병 3천이 민애왕의 정부군 10만을 격파한 사실은 누구도 믿지 않았고 기록상 오류로 볼 정도로 기병의 전투력은 막강하다. 우징(祐徵)은 청해진대사(淸海鎭大使) 장보고(張保皐)와 김주원(金周元)의 후손 김양(金陽)의 도움을 받아 민애왕을 살해하고, 왕위에 올라 신무왕이 되었다. 김양은 우징을 받들어 민애왕의 뒤를 잇게 하니 바로 신라 제45대 신무왕이며, 신무왕의 뒤를 이어 그 아들인 문성왕을 다시 받들었다. 진감국사가 중창하였다 국사암이라는 사명도 진감국사와 관련이 깊은데 , 신라 민애왕이 중창주인 진감선사를 스승으로 봉하여 진감국사라 칭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국사암이라 부르게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