멱라수(汨羅水)는 예전에, 우리나라에서 ‘미수이 강’을 이르던 말이다. 굴원(屈原)이라는 신하가 간신들의 모함에 자신의 지조를 보이기 위하여 멱라수[汨羅水]라는 강에 몸을 던져 자살하였는데, 그날이 5월 5일 이었다. 굴원은 상강 기슭으로 오르 내리며 정치적 향수와 좌절 속에 유랑 10년의 세월을 보내고 돌 을 품은 채 멱라수(汨羅水)에 몸을 던져 62세의 생을 마감한 중국 최고의 비극적 시인으로 평가 한다. 전국시대 초(楚)나라 시인 굴원(屈原)이 멱라수(汩羅水)에 빠져 죽었다는 고사에서, 그의 죽음을 슬퍼하는 뜻으로 대나무통에 쌀을 넣고 소태나뭇잎으로 감아 물 속에 던지던 풍습이 변하여, 지금은 대나뭇잎으로 싸서 찐 떡을 먹는 풍습이 되었다고 한다. 또 굴원을 작은 배로 구한다는 뜻의 놀이로서 일종의 보트레이스인 용선경도(龍船競渡)가 지금까지 전한다. 멱라수 맑은 물은 굴삼려의 충혼이요 상강수 성긴 비는 오자서의 정령이라. 분류:강 분류:초나라
멱라수(汨羅水)는 예전에, 우리나라에서 ‘미수이 강’을 이르던 말이다. 굴원(屈原)이라는 신하가 간신들의 모함에 자신의 지조를 보이기 위하여 멱라수[汨羅水]라는 강에 몸을 던져 자살하였는데, 그날이 5월 5일 이었다. 굴원은 상강 기슭으로 오르 내리며 정치적 향수와 좌절 속에 유랑 10년의 세월을 보내고 돌 을 품은 채 멱라수(汨羅水)에 몸을 던져 62세의 생을 마감한 중국 최고의 비극적 시인으로 평가 한다. 전국시대 초(楚)나라 시인 굴원(屈原)이 멱라수(汩羅水)에 빠져 죽었다는 고사에서, 그의 죽음을 슬퍼하는 뜻으로 대나무통에 쌀을 넣고 소태나뭇잎으로 감아 물 속에 던지던 풍습이 변하여, 지금은 대나뭇잎으로 싸서 찐 떡을 먹는 풍습이 되었다고 한다. 또 굴원을 작은 배로 구한다는 뜻의 놀이로서 일종의 보트레이스인 용선경도(龍船競渡)가 지금까지 전한다. 멱라수 맑은 물은 굴삼려의 충혼이요 상강수 성긴 비는 오자서의 정령이라. 분류:강 분류:초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