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삼별초(三別抄,Sambyeolcho )는 몽고 침략기에 그에 대항하던 고려의 무장 세력이며, 원래는 하나의 단일한 단체가 아니었다. 뒤에 삼별초의 난을 일으킨다. 고려 시대에 둔 좌별초, 우별초, 신의군의 세 군대의 통칭이다. 삼별초는 최씨 정권의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한 야별초를 좌별초와 우별초로 나누고, 몽골군에 포로가 되었다 탈출한 병사들을 모아 신의군을 조직하여 이 세군대를 합쳐 삼별초 라부른다. 삼별초(三別秒)는 1219년(고종 6) 최충헌(崔忠獻)의 정권을 계승한 최우(崔瑀)가 방도(防盜) 등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한 야별(夜別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별초란 ‘용사들로 조직된 선발군’이라는 뜻이다. 강화도의 수비의 역활을 맡았던 군사가 삼별초다. 삼별초는 무신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었다. 삼별초는 세계를 휩쓸고 있던 몽골과 7차례 이상의 침공에도 불구하고 방어 지구전에 성공하였다. 다른 반란군과는 달리 원래는 비정규군이었다. 이렇게 되자 정규군의 힘은 약해지고 오히려 삼별초가 정규군을 대신하게 되었다. 몽고와의 전투에서도 이들의 활약이 두드러졌고, 정적을 제거할 때도 이들의 힘이 쓰였다.
|
abstract
| - 삼별초(三別抄,Sambyeolcho )는 몽고 침략기에 그에 대항하던 고려의 무장 세력이며, 원래는 하나의 단일한 단체가 아니었다. 뒤에 삼별초의 난을 일으킨다. 고려 시대에 둔 좌별초, 우별초, 신의군의 세 군대의 통칭이다. 삼별초는 최씨 정권의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한 야별초를 좌별초와 우별초로 나누고, 몽골군에 포로가 되었다 탈출한 병사들을 모아 신의군을 조직하여 이 세군대를 합쳐 삼별초 라부른다. 삼별초(三別秒)는 1219년(고종 6) 최충헌(崔忠獻)의 정권을 계승한 최우(崔瑀)가 방도(防盜) 등 치안 유지를 위해 설치한 야별(夜別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별초란 ‘용사들로 조직된 선발군’이라는 뜻이다. 강화도의 수비의 역활을 맡았던 군사가 삼별초다. 삼별초는 무신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었다. 삼별초는 세계를 휩쓸고 있던 몽골과 7차례 이상의 침공에도 불구하고 방어 지구전에 성공하였다. 다른 반란군과는 달리 원래는 비정규군이었다. 이렇게 되자 정규군의 힘은 약해지고 오히려 삼별초가 정규군을 대신하게 되었다. 몽고와의 전투에서도 이들의 활약이 두드러졌고, 정적을 제거할 때도 이들의 힘이 쓰였다. 굴복과 타협을 싫어했던 삼별초는 환도를 반대하였데 결국 환도를 하게 되고 삼별초는 해산 직전에 이르렀다. 삼별초의 난은 고려 24대 원종(1219-1274) 11년인 1270년에서 1273년까지 강화도에서 일어난 난이였다. 삼별초가 진도로 간 이유는 항몽(몽고에 대항)을 하기 위해서 였다. '또 하나의 고려'를 건국한 삼별초의 궁궐터가 층층이 있는 용장 산성과 그 뒤로 능선을 따라 성곽이 둘러싸고 있다. 왕궁터 배치상태와 구조적인 특징, 중심축과 차이를 보이는 유구의 존재 등을 검토해 볼 때 삼별초가 들어오기 이전 존재하던 사찰을 개조해 왕궁지를 축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삼별초는 명량수로를 점거하고 조공 물자 등의 운송을 차단하니 고려정부의 재정은 파탄지경에 이르렀다. 진도 싸움에서 패한 삼별초는 원종 12년(1271) 제주도에 들어왔다. 삼별초는 고려 원종12년(1271) 제주도에 들어와 애월읍 고성리에 항파두리 토성을 쌓았다.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에 가면 항몽 유적지가 있다. 이곳은 ,고려 원종 14년(1273) 김통정 장군과 삼별초 대원들이 여몽 연합군과 마지막까지 싸운 곳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