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dbkwik:resource/0zaD2MjsKf-YDdvrjXbN0w==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134.155.108.49:8890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 치술 공주
rdfs:comment
  • 치술 공주 김씨(鵄述公主 金氏)는 신라의 제 18대 임금 실성 마립간의 딸이며, 박제상의 처이다. 황아(皇我)는 눌지왕의 딸이고, 그 어머니는 치술공주 인데 실성왕의 딸이다. 제상공(堤上公)에게 시집을 가서 삼아(三我)를 낳았다. 박제상이 일본에 사신으로 가자 그의 처 치술공주가 장사에 드러누워 오랬동안 크게 울고 일어나지 않자 왕이 치술공주를 궁중으로 불러들여 색도로 위로하였다. 박제상이 돌아오지 않자 부인은 남편을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두 딸과 치술령(述嶺: 수릿재. 울산, 경주)에서 죽은 박제상을 그리다가 돌이 된 제상의 부인은 치술신모로 추앙받고 있다. 신라에서는 제1대 박혁거세의 왕비인 알영부인, 제2대 남해차차웅의 왕비인 운제 부인, 박제상의 부인인 치술 공주가 국신(國神)으로 추앙되었다. 상장돈장을 보면, 왜에 인질로 갔다 돌아온 내물왕 셋째 아들 미해(美海)는 박제상과 치술공주 사이에서 난, 여섯 딸 중 3명에게서 각기 자녀를 두었으니 청아(靑我)에게서는 아들 백흔(白欣)을 낳았다. 분류:신라 여인
dcterms:subject
abstract
  • 치술 공주 김씨(鵄述公主 金氏)는 신라의 제 18대 임금 실성 마립간의 딸이며, 박제상의 처이다. 황아(皇我)는 눌지왕의 딸이고, 그 어머니는 치술공주 인데 실성왕의 딸이다. 제상공(堤上公)에게 시집을 가서 삼아(三我)를 낳았다. 박제상이 일본에 사신으로 가자 그의 처 치술공주가 장사에 드러누워 오랬동안 크게 울고 일어나지 않자 왕이 치술공주를 궁중으로 불러들여 색도로 위로하였다. 박제상이 돌아오지 않자 부인은 남편을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두 딸과 치술령(述嶺: 수릿재. 울산, 경주)에서 죽은 박제상을 그리다가 돌이 된 제상의 부인은 치술신모로 추앙받고 있다. 신라에서는 제1대 박혁거세의 왕비인 알영부인, 제2대 남해차차웅의 왕비인 운제 부인, 박제상의 부인인 치술 공주가 국신(國神)으로 추앙되었다. 상장돈장을 보면, 왜에 인질로 갔다 돌아온 내물왕 셋째 아들 미해(美海)는 박제상과 치술공주 사이에서 난, 여섯 딸 중 3명에게서 각기 자녀를 두었으니 청아(靑我)에게서는 아들 백흔(白欣)을 낳았다. 분류:신라 여인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