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선우(중국어 정체: 單于, 병음: Chányú, Shanyu)는 흉노의 군주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한서 흉노전에 의하면 선우라는 호칭은 撑犂孤塗單于(탱리고도선우)의 약칭으로, 탱리는 하늘, 고도는 아들, 선우는 광대함을 뜻한다. 이는 흉노가 강성하던 진나라, 한나라 시대 이래로 중국인들이 자신들의 군주를 천자(天子), 즉 하늘의 아들이라고 불렀던 것과 비슷하다. 선우는 흉노의 지배 가문인 연제씨에서 나왔다. 초기에는 장자 계승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이치사 선우가 조카를 대신해 계승한 이후로는 장자 계승의 원칙을 지키지 않았다. 현대의 언어학자들은 투르크어와 몽골어 등에서 탱리고도선우라는 명칭의 뜻을 찾으려 노력해 왔다. 몇몇 학자들은 '탱리'를 하늘을 뜻하는 투르크어의 tengri(텡그리), 고도를 아들을 뜻하는 퉁구스어 quto(쿠토)와 연관지어 해석하고 있다. 이능화는 그의 저서에서 '탱리'란 곧 하늘의 둥근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재유고(頤齋遺藁)을 인용하여 원(圓)은 곧 斗應斤來(둥구래)라고 하였다.
|
abstract
| - 선우(중국어 정체: 單于, 병음: Chányú, Shanyu)는 흉노의 군주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한서 흉노전에 의하면 선우라는 호칭은 撑犂孤塗單于(탱리고도선우)의 약칭으로, 탱리는 하늘, 고도는 아들, 선우는 광대함을 뜻한다. 이는 흉노가 강성하던 진나라, 한나라 시대 이래로 중국인들이 자신들의 군주를 천자(天子), 즉 하늘의 아들이라고 불렀던 것과 비슷하다. 선우는 흉노의 지배 가문인 연제씨에서 나왔다. 초기에는 장자 계승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이치사 선우가 조카를 대신해 계승한 이후로는 장자 계승의 원칙을 지키지 않았다. 현대의 언어학자들은 투르크어와 몽골어 등에서 탱리고도선우라는 명칭의 뜻을 찾으려 노력해 왔다. 몇몇 학자들은 '탱리'를 하늘을 뜻하는 투르크어의 tengri(텡그리), 고도를 아들을 뜻하는 퉁구스어 quto(쿠토)와 연관지어 해석하고 있다. 이능화는 그의 저서에서 '탱리'란 곧 하늘의 둥근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재유고(頤齋遺藁)을 인용하여 원(圓)은 곧 斗應斤來(둥구래)라고 하였다. 하지만, 흉노의 뒤를 이은 유목 부족들인 유연, 돌궐 등은 선우라는 명칭을 쓰지 않고, 카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후 흉노 이외에 선우라는 표현을 내세운 유목 국가가 없으며,(오환, 선비가 단기적으로 사용한 경우는 있음) 흉노의 언어 자체도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선우'의 어원은 불명확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