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립 [草笠]은 예전에, 어린 나이에 관례를 한 남자가 쓰던 갓, 황색의 가는 풀이나 대오리를 엮어 만든 갓. 양반·평민 모두 사용했다. 선비는 오십죽립(五十竹笠), 서민은 삼십죽립(三十竹笠)을 쓰도록 하여 죽 수로 신분차별을 두었다. 죽 수는 초립을 짤 때 날의 수를 말하는 것으로, 곱고 성김을 나타낸 것이다. 패랭이의 양태는 아래로 약간 우긋한데, 초립은 도리어 위로 버드러져 올라가 있다. 형태는 양태(凉太) 부분이 다른 입자(笠子)에 비하여 좁으며 가장자리가 위로 약간 휘어져 올라간 것이 특징이다. 또한 모부(帽部)가 좁기 때문에 머리에 얹어놓을 정도의 역할밖에 하지 못했다. 만들어진 형태로 보면 평량자보다 한층 흑립(黑笠)에 가까운 모양이지만 크기가 작고, 흑립의 양태가 아래로 우굿함에 비하여 초립은 도리어 위로 약간 올라갔다.
초립 [草笠]은 예전에, 어린 나이에 관례를 한 남자가 쓰던 갓, 황색의 가는 풀이나 대오리를 엮어 만든 갓. 양반·평민 모두 사용했다. 선비는 오십죽립(五十竹笠), 서민은 삼십죽립(三十竹笠)을 쓰도록 하여 죽 수로 신분차별을 두었다. 죽 수는 초립을 짤 때 날의 수를 말하는 것으로, 곱고 성김을 나타낸 것이다. 패랭이의 양태는 아래로 약간 우긋한데, 초립은 도리어 위로 버드러져 올라가 있다. 형태는 양태(凉太) 부분이 다른 입자(笠子)에 비하여 좁으며 가장자리가 위로 약간 휘어져 올라간 것이 특징이다. 또한 모부(帽部)가 좁기 때문에 머리에 얹어놓을 정도의 역할밖에 하지 못했다. 만들어진 형태로 보면 평량자보다 한층 흑립(黑笠)에 가까운 모양이지만 크기가 작고, 흑립의 양태가 아래로 우굿함에 비하여 초립은 도리어 위로 약간 올라갔다. 조선시대 가동(歌童)이 왕의 강무(講武)나 행행(行幸)할 때 융복에 쓰는 입자도 초립이라 불렀다. 주황초(朱黃草)로 만들며 끈을 달고 모자 위에는 공작 깃을 꽂았다. 흑립이 일반화됨에 따라서 점차 관례를 끝낸 소년들이, 흑립을 쓰기 직전의 중간 단계로서 초립을 썼다. 따라서 관례를 마친 어린 남자아이들을 초립동(草笠童)이라 부른 말도 여기서 유래했다. 그밖에 별감(別監)도 상복(常服)에는 황초립을 착용했고 입식(笠飾)으로 호랑이털을 달았다. 무당들이 굿을 할 때 대감놀이마당에서도 초립을 썼다. 분류:갓 분류:초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