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수태양소장경
* 기가 흐르는 길 새끼 손가락 바깥쪽 소택혈에서 일어나서 손 바깥쪽의 전곡, 후계혈을 지나 팔목의 양로혈, 팔뚝의 지정혈, 팔꿈치의 소해(소)혈을 거쳐 팔죽지 바깥쪽 뒷선을 따라 올라가 어깨 뒤에 도달한다. 어깨에서 견정(소) 노수혈을 지나 어깨죽지 부위의 천종, 병풍혈과 곡원, 견외수, 견중수혈을 거쳐 독맥의 대추혈과 만나면서 좌, 우 가지가 서로 교차되고 여기에서 다시 위경의 결분혈로 들어가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한 가지는 계속 아래로 내려가 단중혈 부위에서 심장과 만나고 가름막을 지나 위장을 통과하여 하완혈 부위에서 소장과 만난다. 또다른 한 가지는 목으로 올라가 천창, 천용혈을 지나서 얼굴로 나와 관료혈에 이르러 다시 두 가지로 나눠지니, 한 가지는 눈초리가 담경의 동자료혈을 거쳐 귓속으로 들어가 청궁혈에서 끝이 나고 또다른 한 가지는 뺨을 지나 콧속으로 들어가 청궁혈에서 끝이 나고 또다른 한 가지는 뺨을 지나 콧마루로 올라가 코뿌리 부근의 정명혈에 이르러 족태양 방광경과 만난다 (가) 눈병이 있을때 아픈 쪽의 소택혈에서 피를 몇 방울 뺀다 (나) 중풍으로 인하여 한 쪽을 잘 못쓸 때 아픈 쪽의 소택혈에서 수시로 피를 빼준다
|
abstract
| - 수태양소장경
* 기가 흐르는 길 새끼 손가락 바깥쪽 소택혈에서 일어나서 손 바깥쪽의 전곡, 후계혈을 지나 팔목의 양로혈, 팔뚝의 지정혈, 팔꿈치의 소해(소)혈을 거쳐 팔죽지 바깥쪽 뒷선을 따라 올라가 어깨 뒤에 도달한다. 어깨에서 견정(소) 노수혈을 지나 어깨죽지 부위의 천종, 병풍혈과 곡원, 견외수, 견중수혈을 거쳐 독맥의 대추혈과 만나면서 좌, 우 가지가 서로 교차되고 여기에서 다시 위경의 결분혈로 들어가 두 가지로 나뉘어진다. 한 가지는 계속 아래로 내려가 단중혈 부위에서 심장과 만나고 가름막을 지나 위장을 통과하여 하완혈 부위에서 소장과 만난다. 또다른 한 가지는 목으로 올라가 천창, 천용혈을 지나서 얼굴로 나와 관료혈에 이르러 다시 두 가지로 나눠지니, 한 가지는 눈초리가 담경의 동자료혈을 거쳐 귓속으로 들어가 청궁혈에서 끝이 나고 또다른 한 가지는 뺨을 지나 콧속으로 들어가 청궁혈에서 끝이 나고 또다른 한 가지는 뺨을 지나 콧마루로 올라가 코뿌리 부근의 정명혈에 이르러 족태양 방광경과 만난다
* 1 소택 새끼손가락 바깥쪽 손톱눈에서 부추 한 잎 넓이 정도 떨어진 곳이 소택혈이다. 소장경의 정혈로서 응급한 경우에 폐경의 정혈인 소상혈과 같이 사용되며 (손가락의 양쪽 끝이 죄기 때문에) 아이를 낳기 힘든 경우(난산) 같은 태양경의 정혈인 지음혈과 더불어 뜸을 뜨거나 피를 빼기도 한다
* 2 전곡 새끼손가락 바깥쪽에서 손등과 바닥의 경계선 위에서 혈을 잡는다. 주먹을 가볍게 쥐었을때 새끼손가락뼈와 두번째 손가락뼈 사이에 생기는 가로무늬 끝이 전곡혈인데 오수혈 중 양혈에 속한다
* 3 후계 주먹을 가볍게 쥐었을때 손바닥쪽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는 손금 무늬 끝나는 곳에서 약간 위 움푹 패인 곳이 후계혈이다. 기경팔혈의 하나로서 독맥과 통하고 있기 때문에 허리나 목 뒷덜미가 아플때 신맥혈과 함께 응용할 수 있고 눈 다래끼에는 아픈쪽에서 피를 몇방울 뺀다.
* 4 완골 후계혈에서 손가락 끝으로 손몸뼈를 가볍게 훑어 올라가면 약간 걸리는 턱이 나오고 그 턱을 넘어서면 더 큰 턱이 나오면서 움푹 들어간 곳이 나오는데 그곳이 완골(소)혈이다. 담경의 완골(담)혈과 구분하기 위하여 완골(소)라고 표시하는데 소장경의 원혈이다
* 5 양곡 완골(소)혈에서 뼈 하나를 건너 뛰어 움푹 파인 곳이니 손목을 뒤로 젖히면 나타나는 2개 가로무늬 중 뒤쪽의 가로무늬 끝나는 부위가 양곡혈이며 오수혈 중 경혈에 속한다.
* 6 양로 팔꿈치를 구부리고 손바닥을 반대편 젖가슴에 댄 자세에서 혈을 잡는데 손목에서 가장 불거진 뼈(척골소두)의 약간 위쪽에 손끝이 들어가는 홈같은 곳이 양로혈이다. 이 자리는 손바닥을 아래로 수평하게 든 자세에서 올라와 있지만 손바닥을 젖가슴쪽으로 향하게 하면 움푹 들어가기도 한다. 노인을 봉양한다는 혈의 이름처럼 나이드신 분들의 병에 쓸 수 있으며 소장경의 극혈이니 소장경상의 급성병, 통증이 심한 병에 응용할 수 있다.
* 7 지정 양곡혈과 소해(소)혈을 먼저 정한 다음 그 가운데 근육과 근육 사이이니 소장경에서 심경으로 연락되는 소장경의 낙혈이다.
* 8 소해(소) 팔꿈치를 반쯤 구부리면 팔꿈치에서 가장 많이 튀어나온 뼈(주두)와 안쪽의 툭 불거진 뼈(상완골 내측상과) 사이에 약간 홈(척골 신경구)이 파이는데 그 중심점이 소해(소)혈이니 강하게 자극하면 전기에 감전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소해(심)혈과 구분하기 위하여 소해(소)라고 하며 오수혈 중에 합혈에 속한다.
* 9 견정 팔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린 자세에서 등 뒷면에 나타나는 겨드랑이 가로무늬 끝에서 위로 1촌 되는 곳이 견정(소)혈인데 견정(담)혈과 구분하기 위하여 견정(소)이라고 표시한다.
* 10 노수 견정(소)혈에서 손가락을 가만히 밀고 곧바로 올라가면 뼈가 걸려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는 곳이 노수혈이다. 팔을 잘 못 올리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이 자리를 눌러보면 아프기 때문에 흔히 사용되는데 양유맥, 양교맥이 소장경과 만나는 곳이기도 하다.
* 11 천종 등에서 닭의 날개죽지와 같은 어깨죽지뼈(견갑골)가 있는데 이 뼈의 중앙점이 천종혈이다. 천종혈은 어깨, 가슴, 뒷목, 팔죽지가 아플때 반드시 써야할 만큼 중요한 혈인데 누구나 눌러주면 아프면서도 시원하다고 한다. 특히, 그 안쪽에 심장과 같이 자리잡고 있어서 병변이 있을때 반응점이 되기도 하니 심장이 나쁘면 왼쪽 천종혈이, 간이 나쁘면 오른쪽 천종혈에서 통증을 더 심하게 느낀다. '앞뒤 상응법'으로 젖가슴에 상응되니 젖가슴이 아플때나 젖이 부족할때도 응용할 수 있다.
* 12 병풍 천종혈에서 손가락을 밀고 올라가면 뼈 하나가 나오는데 그 뼈를 건너뛴 우묵하게 들어간 곳이 병풍혈이다. 이름처럼 풍기운을 물리칠 수 있는데 대장경, 삼초경, 담경이 소장경과 만나는곳이다.
* 13 곡원 병풍혈에서 등뼈를 향하여 뼈를 따라 오면 움푹 파여 있으면서 근육은 약간 도드라져 팔을 움직이면 근육도 따라 움직이는 곳이 곡원혈이다.
* 14 견외수 등 바깥선과 독맥의 도도혈을 수평으로 지나는 선과 만나는 곳이 견외 수혈이다.
* 15 견중수 독맥의 대추혈에서 양 옆으로 2촌되는 곳이니 견외수혈과 더불어 어깨가 뻐근하고 뒷목이 아플때 효과가 있다.
* 16 천창 앞목 한가운데 울대뼈 중심에서 양옆으로 1부(3촌) 거리가 대장경의 부돌혈인데 여기서 다시 바깥쪽으로 0.5촌, 도툼한 근육 아래가 천창혈이다.
* 17 천용 아래턱뼈가 불거져 각(하악각)을 이루고 있는 바로 뒤에 움푹 파인 듯한 느낌이 들면서 누르면 혀뿌리쪽으로 통증이 전해지는 곳이 천용혈이다.
* 18 관료 눈초리 끝을 잇는 수직선과 코끝을 잇는 수평선이 만나는 자리로서 광대뼈 바로 아래가 관료혈이다.
* 19 청궁 입을 약간 벌린 자세로 혈을 잡는데 귀젖 바로 앞쪽 움푹 들어간 곳이 청궁혈이다. 힘있게 누르면 귓속에 떨리는 듯한 아픔이 느껴지기 때문에 귀병에 쓸 수 있고 방광경, 삼초경, 담경이 소장경과 서로 만나는 곳이다.
* 다음을 경락학적으로 설명해 봅시다 (가) 눈병이 있을때 아픈 쪽의 소택혈에서 피를 몇 방울 뺀다 (나) 중풍으로 인하여 한 쪽을 잘 못쓸 때 아픈 쪽의 소택혈에서 수시로 피를 빼준다 (다) 후계혈에 침을 찌르면 손바닥에서 땀이 나는 경우가 많다 (라) 허리가 삐었을 때 양쪽 후계혈에 침을 놓고 양손으로 기를 보낸다 (마) 블루스 춤을 출때 상대방 천종혈을 지긋이 눌러준다 (바) 감기 기운이 있을때 쇼올 등으로 등을 따뜻하게 해준다 (사) 광대뼈 아래가 유독 붉은 여자들은 장에 이상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