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 - 자오환(子午環)은 20세기 전반까지 달의 운동에 관한 관측에 사용되었던 측정장치였다. 최근에는 성식(星蝕)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혼천의 (渾天儀)는 천체의 운행과 위치를 측정하던 의기(儀器). 혼의(渾儀)·혼의기(渾儀器)·선기옥형(璇璣玉衡)이라고도 한다. BC 2세기 무렵 고대 중국의 우주관인 혼천설에 기초하여 중국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이후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되며, 기록상으로는 1432년(세종 14) 왕명에 의해 정초(鄭招)·정인지(鄭麟趾) 등이 고전을 조사하고, 다음해 이천·장영실(蔣英實) 등이 제작한 것이 최초이다. 그 뒤 1657년(효종 8) 최유지(崔攸之), 1669년(현종 10) 이민철(李敏哲)과 송이영(宋以穎)이 각각 혼천의를 만들었다. 최유지·이민철의 것은 물을 동력으로 쓴 수격식(水擊式), 송이영의 것은 서양식 자명종 원리를 이용하여 시계 장치의 동력원을 추로 개량한 것이었다. 구조는 육합의(六合儀)·삼진의(三辰儀)·사유의(四遊儀)의 3부분으로 이루어졌으며 육합의는 지평환(地平環)·자오환·적도환의 3개환으로 구성되어 천구의 상하와 사방을 추측할 수 있다. 지평환(地平環)은 지평선과 별이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알 수 있게 해주며, 자오환(子午環)은 어떤 별이 머리 위를 지나가는지 알 수 있으며, 적도환은 이십팔수의 위치를 새겨 놓은 것이다. 가운데에 있는 삼진의는 황도환과 백도환으로 구성되며 해·달·별을 관측할 수 있다. 가장 안쪽에 있는 사유의는 천체를 관측하는 규관을 통해 동서남북 사방 관찰이 가능하다. 뢰머(Olaus Roemer 1644∼1710)는 덴마크 천문학자였다. 유틀란트 오르후스 출생하여 1662년 코펜하겐대학을 거쳐 72∼81년 파리에 유학, 황태자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72년 관상대 관측원, 81년 코펜하겐 대학 수학 교수, 코펜하겐 관상대 대장으로 근무하면서 위성(衛星)관측을 계속하였다. 목성에 관한 연구로서 거리에 따라 식(蝕)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또한 지구궤도의 지름을 통과하는 광선의 시간을 측정, 광속도의 수값과 유한성을 계산해 냈다. 자오환(子午環)과 적도의(赤道儀)를 발명했으며, 관측활동을 위해 투스크란 관상대도 세웠으나 화재로 소실되었다. 1884년 워싱턴만국회의에서 런던 남동쪽에 설치한 그리니치에 천문대의 자오환을 지나는 자오선을 본초 자오선으로 지정하여 경도의 원점이 된 것이라 한다. 분류:천문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