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dbkwik:resource/9kkMsperQdjDwY922rF5mA==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134.155.108.49:8890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 퉁소
rdfs:comment
  • 퉁소는 팔음(八音) 중 죽부(竹部)에 속하는 공명악기(共鳴樂器). 대로 만든 국악기의 하나, 구멍이 위쪽으로 다섯 개, 아래쪽으로 하나가 나 있다 악기의 이름은 위아래가 관통해 있다는 뜻으로 붙여진 것이다. 대나무로 만들어진 세로로 들고 부는 악기이며 크기는 단소보다 훨씬 크다. 〈고려사〉 악지에서 당악기의 하나로 그 이름이 보이며, 〈악학궤범〉에 의하면 중국 계통의 악기로 당악계 연주에 쓰인 듯하다. 그뒤 조선시대에는 당비파·당적·아쟁·대금과 함께 쓰였다. 그러나 지금은 향악에 맞도록 개량되어, 종묘뿐만이 아니라 보허자·낙양춘 같은 당악계의 음악 모두에 쓰이지 않고 민속악에서만 간혹 쓰인다. 특히 북청사자놀음의 반주에 '퉁애'라는 이름으로 이 악기가 쓰이고 있다. 또한 한범수류의 퉁소산조가 있었으나 지금은 전승이 끊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향악기화 된 퉁소는 정악용과 민속악용 2가지이다. 정악용은 청공이 없고 지공이 뒤에 1개, 앞에 5개로 되어 있는데 비해, 민속악용은 청공이 있고 단소와 같이 지공이 뒤에 1개 앞에 4개로 되어 있다. 또한 음률도 완전히 민속악에 맞추어 사용하고 있다. 1. * 넘겨주기
dcterms:subject
dbkwik:ko.gravity/...iPageUsesTemplate
abstract
  • 퉁소는 팔음(八音) 중 죽부(竹部)에 속하는 공명악기(共鳴樂器). 대로 만든 국악기의 하나, 구멍이 위쪽으로 다섯 개, 아래쪽으로 하나가 나 있다 악기의 이름은 위아래가 관통해 있다는 뜻으로 붙여진 것이다. 대나무로 만들어진 세로로 들고 부는 악기이며 크기는 단소보다 훨씬 크다. 〈고려사〉 악지에서 당악기의 하나로 그 이름이 보이며, 〈악학궤범〉에 의하면 중국 계통의 악기로 당악계 연주에 쓰인 듯하다. 그뒤 조선시대에는 당비파·당적·아쟁·대금과 함께 쓰였다. 그러나 지금은 향악에 맞도록 개량되어, 종묘뿐만이 아니라 보허자·낙양춘 같은 당악계의 음악 모두에 쓰이지 않고 민속악에서만 간혹 쓰인다. 특히 북청사자놀음의 반주에 '퉁애'라는 이름으로 이 악기가 쓰이고 있다. 또한 한범수류의 퉁소산조가 있었으나 지금은 전승이 끊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향악기화 된 퉁소는 정악용과 민속악용 2가지이다. 정악용은 청공이 없고 지공이 뒤에 1개, 앞에 5개로 되어 있는데 비해, 민속악용은 청공이 있고 단소와 같이 지공이 뒤에 1개 앞에 4개로 되어 있다. 또한 음률도 완전히 민속악에 맞추어 사용하고 있다. 《쇠퉁소》는 1982년 만화가 허영만의 일제 강점기 배경으로 일본 제국에 저항하는 유협의 이야기를 그린 만화이다. 쇠퉁소는 각시탈이라는 제목으로 많은 독자들의 애국정신을 고취시켜주던 바로 그작품!! 정적을 가르는 한밤의 퉁소소리! 일본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민족의 항변이 쇠퉁소의 흐느끼는 가락에 절절이 배어온다. 1. * 넘겨주기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