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장마 (rainy season) 는 보통 6월 중순에서 7월 하순까지 습한 공기가 전선을 이루어서 비가 거의 연속적으로 내리게 되는 현상입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기후 변화의 영향을 심하게 받아서 장마의 시기가 일정하지 않고 훨씬 늦게 시작되거나 거의 장마가 오지 않는 일도 있습니다. 분류:한국의 기후
- 장마 (East Asian rainy season,梅雨 )는 매년 6~8월경에 계속해서 많은 비가 내리는 현상이다. 장마기간에는 구름량이 증가하고 일조시수(日照時數)가 감소하며, 습도와 강수량이 증가하여 천둥·번개를 동반하는 악천후(惡天候)가 계속된다. 장마는 일본의 바이우[梅雨], 중국의 메이유[梅雨]와 함께 동아시아 하계 계절풍 기후의 일환(一環)이다. 일반적으로 장마는 종관기후학적으로 열대성 습윤기단인 북태평양 기단과 해양성 한대기단인 오호츠크 해 기단 사이에서 형성되는 한대전선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장마전선의 출현 상태, 출현 시기, 지속 기간, 진행 추이 및 종료는 북태평양 기단과 오호츠크 해 기단의 위치와 강도, 대기 대순환 등의 여러 가지 기상학적·기후학적 인자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매년 일어나는 계절적인 현상이지만 해에 따른 변화와 불규칙성이 매우 크다.
|
abstract
| - 장마 (rainy season) 는 보통 6월 중순에서 7월 하순까지 습한 공기가 전선을 이루어서 비가 거의 연속적으로 내리게 되는 현상입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기후 변화의 영향을 심하게 받아서 장마의 시기가 일정하지 않고 훨씬 늦게 시작되거나 거의 장마가 오지 않는 일도 있습니다. 분류:한국의 기후
- 장마 (East Asian rainy season,梅雨 )는 매년 6~8월경에 계속해서 많은 비가 내리는 현상이다. 장마기간에는 구름량이 증가하고 일조시수(日照時數)가 감소하며, 습도와 강수량이 증가하여 천둥·번개를 동반하는 악천후(惡天候)가 계속된다. 장마는 일본의 바이우[梅雨], 중국의 메이유[梅雨]와 함께 동아시아 하계 계절풍 기후의 일환(一環)이다. 일반적으로 장마는 종관기후학적으로 열대성 습윤기단인 북태평양 기단과 해양성 한대기단인 오호츠크 해 기단 사이에서 형성되는 한대전선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장마전선의 출현 상태, 출현 시기, 지속 기간, 진행 추이 및 종료는 북태평양 기단과 오호츠크 해 기단의 위치와 강도, 대기 대순환 등의 여러 가지 기상학적·기후학적 인자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매년 일어나는 계절적인 현상이지만 해에 따른 변화와 불규칙성이 매우 크다. 5월말과 6월초에 이 강우대는 북위 30° 이남에 위치했다가 북상하기 시작해 화난[華南] 지방과 오키나와[沖繩]를 거쳐 한국에 우계(雨季)를 가져온다. 이 전선은 종관규모로 보아 일본에서의 바이우 전선 및 중국에서의 메이위 전선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진다. 장마전선의 정체나 동태는 해마다 다르므로 전형적인 전선의 정체상황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한국의 경우 대체로 6월 하순 남해안에 동서로 길게 장마전선이 정체하게 되고 구름 영역이 전선축으로부터 약 200~300㎞의 폭으로 형성되어 구름량이 증가하고 전선대를 따라 서쪽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저기압에 의해 강수현상이 지속된다. 장마 때는 운량과 강수량에 높은 상관도가 있으면서도 때에 따라서는 구름 낀 날씨만 지속될 뿐 강수량이 그리 많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러나 대체로 장마중에는 구름 낀 날씨와 강수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장마 때 강수가 시작되는 때는 평균 6월 25~29일로 전국이 거의 같은 기간이다. 그러나 장마의 강수량과 지속 기간은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비가 많은 장마 때 강수량은 1일평균 17~20㎜이고, 강수량이 적은 과우(寡雨)장마 때는 1일평균 8㎜ 정도이며, 다우장마 때는 과우장마 때에 비해 2배 이상 많이 내린다. 장마의 종료는 매우 불규칙하나 대체로 7월 30일에서 8월 3일 전후로 강수량이 감소하고 무더운 여름이 시작된다. 남부지방에서는 8월 29일에서 9월 17일 사이에 강수량이 다시 증가해 가을장마가 나타난다. 장마중의 강수량은 평균적으로 한국의 연평균강수량의 25~50%를 차지하며, 특히 장마기간이 벼의 이앙기와 일치하므로 식생과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특히 장마전선과 태풍이 상호작용할 때는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홍수를 유발시켜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장마전선은 6월 하순에 일본열도에 있다가 7월 중순에 한국 중부지방까지 북상하며 7월 하순에는 한국·중국 국경에 이른다. 그러나 실제로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 해 기단 사이의 세력으로 좌우되어 남북으로 진동한다. 전선의 남쪽과 북쪽의 기단 성질이 다르므로 전선의 위치에 따라 기온이 다르며 구름이 없는 맑은 날씨가 되기도 하지만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분류:강수 분류:항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