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dbkwik:resource/ACGMzR435qZzZLq6v9yCWg==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134.155.108.49:8890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rdfs:comment
  • 건은 천으로 만든 모자쯤으로 생각하면 된다. 송나라나 명나라 시절의 건은 오늘날 우리 안방의 사극에서도 쉽게 구경할 수가 있다. 이 중, 귀를 덮는 건을 '책(幘)'이라 특화하기도 했다. 간체를 번체로 옮겨, 우리말로 읽으면 아래와 같다. 치촬(緇撮) / 결건(結巾) / 뇌건(雷巾) / 흑개책(黑介幘) 윤건(綸巾) / 유건(儒巾) / 순양건(純陽巾) / 평상책(平上幘) * '치촬'은 속발을 하고 상투에 쓰는 작은 건을 가리킨다. * '결건'과 '뇌건'은 무인들이 많이 사용했다. 잘 된 만화 삼국지를 보면 장비나 관우가 투구 벗었을 때 결건이나 뇌건을 쓰고 있다. * '흑개책'은 문관이 쓰던 것. * '윤건'은 문관들이 주로 썼고, 흔히 책사들이 쓰곤 했다. 중국 드라마에선 제갈공명에게 꼭 이걸 씌우더라. ㅎ * '유건'은 명나라 때 유생들이 일상적으로 쓰고 다녔다. * '순양건'은 이름 그대로 순양자 여동빈에게서 유래한 건이다. 당의 시인 백거이(자, 낙천)가 즐겨 썼다하여 낙천건(樂天巾)이라고도 한다. * '평상책'은 무관이 쓰던 것.
dcterms:subject
abstract
  • 건은 천으로 만든 모자쯤으로 생각하면 된다. 송나라나 명나라 시절의 건은 오늘날 우리 안방의 사극에서도 쉽게 구경할 수가 있다. 이 중, 귀를 덮는 건을 '책(幘)'이라 특화하기도 했다. 간체를 번체로 옮겨, 우리말로 읽으면 아래와 같다. 치촬(緇撮) / 결건(結巾) / 뇌건(雷巾) / 흑개책(黑介幘) 윤건(綸巾) / 유건(儒巾) / 순양건(純陽巾) / 평상책(平上幘) * '치촬'은 속발을 하고 상투에 쓰는 작은 건을 가리킨다. * '결건'과 '뇌건'은 무인들이 많이 사용했다. 잘 된 만화 삼국지를 보면 장비나 관우가 투구 벗었을 때 결건이나 뇌건을 쓰고 있다. * '흑개책'은 문관이 쓰던 것. * '윤건'은 문관들이 주로 썼고, 흔히 책사들이 쓰곤 했다. 중국 드라마에선 제갈공명에게 꼭 이걸 씌우더라. ㅎ * '유건'은 명나라 때 유생들이 일상적으로 쓰고 다녔다. * '순양건'은 이름 그대로 순양자 여동빈에게서 유래한 건이다. 당의 시인 백거이(자, 낙천)가 즐겨 썼다하여 낙천건(樂天巾)이라고도 한다. * '평상책'은 무관이 쓰던 것. 소포파(小包帕) / 주자복건(朱子幅巾) / 주건(周巾) / 호연건(浩然巾) 방건(方巾) / 동성건(東城巾) / 이? 건(二伩巾) / 만자건(萬字巾) / 망건(網巾) 장자건(莊子巾,南華巾) / 유건(儒巾) / 절상건(折上巾, 익선관翼善冠) * '소포파'는 치촬과 비슷해 보인다. * '주자복건'은 '복건'이라고도 하며 왕이나 높은 선비[王公雅士]들의 전용이었다. 우리네 '복건'과 동일하다. * '주건'은 요즘 힙합하는 이들이 수건으로 저 모양 많이 만든다. * '호연건'은 당의 시인 맹호연에게서 유래한 건이라 한다. 눈이 올 때 사용했다 한다. * '방건'은 명나라 시절 유행했다는 이른바 '사방평정건四方平定巾'이다. * '동성건'은 송나라 때 유행했다는 선비용 건이다. 그림은 당의 시인 백거이의 초상이더라. * 二伩巾은 정확한 이름이 뭔지 모르겠더라. 伩은 간자도 번자도 아니던데, 이 그림을 취합한 이가 오타를 낸 걸까나. -_-a 모양은 우리네 '탕건'과 닮았는데. * '만자건'의 사진이 누구인지 아실 분 많을 것이다. 김용의 원작 《소오강호》에서는 악녀였지만, 이 영화 《동방불패》에서는 귀여운 사매 악영산으로 나온 이가흔이다. 무관들이 주로 쓰던 건이다. * '망건'은 조선 시대 양반들이 상용하던 그것이다. 사진의 주먹만 한 상투는 속발할 때, 배코 치기(상투를 앉히려고 정수리를 깎아낸 자리를 배코라 한다)를 안 해서 그렇다. 중국은 상투에 비녀를 꽂았고, 우리는 동곳을 꽂았다. * '장자건'은 '남화건'이라고도 하며 주로 도사들이 쓰던 건이다. * '유건'은 상동. * '절상건(익선관)'은 조선의 왕들이 썼던 그것. 절상건은 송나라 때, 익선관은 명나라 때의 명칭이다.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