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dbkwik:resource/AgnXHOGUxN_oCM70otvaCA==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134.155.108.49:8890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 신라 문무왕
rdfs:comment
  • 문무왕 (文武王, Munmu of Silla)은 신라 제30대 왕(661~681 재위)으로 이름은 김법민(法敏)이였다. 제29대 태종무열왕의 장자이며, 어머니는 김유신의 여동생 문명왕후(文明王后)이다. 태종 무열왕의 왕위를 이어받았다.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아버지를 도와 국사의 중대한 책무를 다하였으며, 왕위에 올라서는 백제와 고구려를 통일하였다. 태종 무열왕이 미처 삼국을 통일하지 못하고 죽자 이에 법민이 왕위를 계승하여 삼국통일의 과업을 완수하였다. 그러므로 문무왕이 재위한 21년 동안은 거의 백제 부흥군, 고구려 그리고 당나라와 전쟁의 연속이었다. 당은 백제 땅에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을 보내 웅진 도독으로 삼고 취리산에서 부여융과 문무왕이 맹약을 맺게 했다. 취리산의 맹약이 그것이다. 당은 백제를 지배하고자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을 웅진 도독으로 삼았다. 고구려 정벌 계획을 세운 문무왕은 당나라에 원군을 요청하였다.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이때부터 한반도에 단일 국가가 등장하였다. 원효가 세운 절은 지금의 청량사 자리로 문무왕 3년(663년)에 창건했고, 조금 떨어진 금탑봉의 깎아지른 낭떠러지 중간에 세워진 응진전은 의상대사가 세운 것이라고 한다.
dcterms:subject
abstract
  • 문무왕 (文武王, Munmu of Silla)은 신라 제30대 왕(661~681 재위)으로 이름은 김법민(法敏)이였다. 제29대 태종무열왕의 장자이며, 어머니는 김유신의 여동생 문명왕후(文明王后)이다. 태종 무열왕의 왕위를 이어받았다.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아버지를 도와 국사의 중대한 책무를 다하였으며, 왕위에 올라서는 백제와 고구려를 통일하였다. 태종 무열왕이 미처 삼국을 통일하지 못하고 죽자 이에 법민이 왕위를 계승하여 삼국통일의 과업을 완수하였다. 그러므로 문무왕이 재위한 21년 동안은 거의 백제 부흥군, 고구려 그리고 당나라와 전쟁의 연속이었다. 당은 백제 땅에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을 보내 웅진 도독으로 삼고 취리산에서 부여융과 문무왕이 맹약을 맺게 했다. 취리산의 맹약이 그것이다. 당은 백제를 지배하고자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을 웅진 도독으로 삼았다. 고구려 정벌 계획을 세운 문무왕은 당나라에 원군을 요청하였다.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이때부터 한반도에 단일 국가가 등장하였다. 문무왕은 당나라 문화를 수입하는 데 힘을 썼다. 안압지는 통일신라 시대 때 문무왕이 만들었다고 한다. 문무왕은 바다를 생각하며 만들었지만 지도상으로 보았을 때 그렇게 커보이지 않았다. 원효가 세운 절은 지금의 청량사 자리로 문무왕 3년(663년)에 창건했고, 조금 떨어진 금탑봉의 깎아지른 낭떠러지 중간에 세워진 응진전은 의상대사가 세운 것이라고 한다. 대왕암은 문무왕을 위해 신문왕이 완성한 감은사 바로 동쪽에 위치한다. 경북 경주면 양북면에 위치한 대왕암은 삼국 통일이라는 위업을 완성한 신라 제30대 문무 대왕의 바다무덤이다. 대왕암은 바닷가에서 200m떨어진 곳에 길이 약 20m의 바위섬으로 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조그마한 수중 못이 있다. 문무왕이 죽어서 호국룡(護國龍)이 되고자 하였으므로 문무왕의 수중릉(水中陵)으로 알려진 대왕암(大王巖)은 불법을 받들고 나라의 평화를 지킬 터이니 나의 유해를 동해에 장사를 지내라는 유언을 남기고 돌아가신 신라 문무왕의 유골을 모신 곳이 아니라도 우리의 얼과 민족정신이 있는 수중능이다. 경주 감포의 감은사 절터에 있는 감은사 탑을 볼 때 우리는 삼국통일을 완성한 강한 왕 문무왕과 그에 못지않게 강했던 그의 아들 신문왕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분류:신라의 왕
  • 문무왕 (文武王, Munmu of Silla)은 신라 제30대 왕(661~681 재위)으로 이름은 김법민(法敏)이였다. 제29대 태종무열왕의 장자이며, 어머니는 김유신의 여동생 문명왕후(文明王后)이다. 태종 무열왕의 왕위를 이어받았다.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아버지를 도와 국사의 중대한 책무를 다하였으며, 왕위에 올라서는 백제와 고구려를 통일하였다. 태종 무열왕이 미처 삼국을 통일하지 못하고 죽자 이에 법민이 왕위를 계승하여 삼국통일의 과업을 완수하였다. 그러므로 문무왕이 재위한 21년 동안은 거의 백제 부흥군, 고구려 그리고 당나라와 전쟁의 연속이었다. 당은 백제 땅에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을 보내 웅진 도독으로 삼고 취리산에서 부여융과 문무왕이 맹약을 맺게 했다. 취리산의 맹약이 그것이다. 당은 백제를 지배하고자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을 웅진 도독으로 삼았다. 고구려 정벌 계획을 세운 문무왕은 당나라에 원군을 요청하였다.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이때부터 한반도에 단일 국가가 등장하였다. 문무왕은 당나라 문화를 수입하는 데 힘을 썼다. 안압지는 통일신라 시대 때 문무왕이 만들었다고 한다. 문무왕은 바다를 생각하며 만들었지만 지도상으로 보았을 때 그렇게 커보이지 않았다. 원효가 세운 절은 지금의 청량사 자리로 문무왕 3년(663년)에 창건했고, 조금 떨어진 금탑봉의 깎아지른 낭떠러지 중간에 세워진 응진전은 의상대사가 세운 것이라고 한다. 대왕암은 문무왕을 위해 신문왕이 완성한 감은사 바로 동쪽에 위치한다. 경북 경주면 양북면에 위치한 대왕암은 삼국 통일이라는 위업을 완성한 신라 제30대 문무 대왕의 바다무덤이다. 대왕암은 바닷가에서 200m떨어진 곳에 길이 약 20m의 바위섬으로 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조그마한 수중 못이 있다. 문무왕이 죽어서 호국룡(護國龍)이 되고자 하였으므로 문무왕의 수중릉(水中陵)으로 알려진 대왕암(大王巖)은 불법을 받들고 나라의 평화를 지킬 터이니 나의 유해를 동해에 장사를 지내라는 유언을 남기고 돌아가신 신라 문무왕의 유골을 모신 곳이 아니라도 우리의 얼과 민족정신이 있는 수중능이다. 경주 감포의 감은사 절터에 있는 감은사 탑을 볼 때 우리는 삼국통일을 완성한 강한 왕 문무왕과 그에 못지않게 강했던 그의 아들 신문왕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분류:신라의 왕 분류:강릉매화전
is dbkwik:resource/Xkqod-ZX8EfN48jzdAyBwQ== of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