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또는 케이스타는 2007년 대한민국이 독자개발에 성공한 한국형 핵융합 연구로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핵융합소(NFRI)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핵융합 연구는 1995년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연구 장치(KSTAR)개발 사업 추진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한국은 1995년부터 핵융합 연구를 시작하였고 2003년 KSTAR 라는 핵융합로를 거의 완성하기에 이른다. KSTAR는 기존 핵융합 연구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최고 품질의 초전도체인 Nb3 Sn(니오븀 주석 합금)을 활용한 현재 유일한 장치이다. 토카막 플라즈마를 중수소로 생성 하면 핵융합 반응이 발생하는데, KSTAR 운영 계획에 따라 중수소 운전은 2011년경으로 계획하고 있다.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또는 케이스타는 2007년 대한민국이 독자개발에 성공한 한국형 핵융합 연구로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핵융합소(NFRI)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핵융합 연구는 1995년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연구 장치(KSTAR)개발 사업 추진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한국은 1995년부터 핵융합 연구를 시작하였고 2003년 KSTAR 라는 핵융합로를 거의 완성하기에 이른다. KSTAR는 기존 핵융합 연구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최고 품질의 초전도체인 Nb3 Sn(니오븀 주석 합금)을 활용한 현재 유일한 장치이다. 토카막 플라즈마를 중수소로 생성 하면 핵융합 반응이 발생하는데, KSTAR 운영 계획에 따라 중수소 운전은 2011년경으로 계획하고 있다. 케이스타에서는 초전도 자석만이 해결책이라는 결론이 났다. 초전도를 유지하는 것도 쉬운 기술은 아니어서 수많은 실험 끝에 나이오븀-주석합금이 효율성이 높다는 선진국의 실험 결과가 나왔다. 핵융합로는 각종 정밀기술이 종합되어야 하지만 그 중 핵심은 자기장이다. 자기장이 플라즈마를 제대로 가두지 못하면 에너지를 뽑아 쓸 정도의 핵융합 반응은 아예 기대할 수 없다. 선진국들은 자기장의 소재와 구조를 다양하게 연구해 왔다. 여러 소재 중 가장 오래 품을 들여 연구한 것은 구리선 전자석이었지만 결국 초전도 자석만이 해결책이라는 결론이 났다. 문제는 종이 위의 실험결과를 누가 지름 약 10m의 도넛 모양 자석으로 만들어낼 수 있느냐 하는 것인데, 30조각으로 잘라 만든 C자 모양의 초전도 자석 내부는 0.78㎜짜리 초전도 선재(線材)로 칭칭 감겨있다. 이 선재 안에는 선재 하나하나마다 가느다란 나이오븀-주석 합금 심이 3.078개씩 박혀 있다. 나이오븀-주석을 자장면 뽑듯 가늘게 늘여 지름을 불과 4.9㎛밖에 안 되도록 만든 심이다. 대한민국에서의 토카막의 역사는 SNU79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핵융합에 대한 기술이 발전되어가고 있을 때 서울 대학교에서도 그 보조를 맞추어 79년에 토카막형 핵융합로를 만들었다. 하지만 큰 성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던 중 1995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2007년 완공이 된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로 본격적인 기술 개발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존하는 토카막들은 보통 일반 코일을 사용하여 전류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으나 KSTAR는 초전도 코일을 사용함으로서 높은 전류를 흐를 수 있게 되어 미래형 핵융합로라고 할 수 있다. KSTAR는 2008년 첫 플라즈마를 켬으로서 그 가능성을 보였으며 앞으로 ITER라는 세계 공용 핵융합로의 모델로서 그 임무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