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 - 일제에 협조한 대가로 얻은 금전이나 직위를 이용해 일신의 영달을 꾀해온 친일파들은 민족진영의 항일투쟁을 방해하거나 또는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때문에 그들 가운데 더러는 민족적 공분을 사 민족지사들에 의해 처단되기도 했다. 그런데 이같은 행위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공식적으로 표방한 ‘과업’ 중의 하나이기도 했다. 임시정부 기관지인 <독립신문>은 1920년 2월 5일자 1면에서 ‘칠가살(七可殺)’ 을 공식적으로 거론하였다. 이는 항일 민족진영에서 ‘마땅히 죽여야 할 일곱 가지 대상'으로 정한 것인데, ①적의 수괴 ②매국적(賣國賊) ③고등경찰 및 형사, 밀고자 ④친일 부호 ⑤총독부 관리 ⑥불량배 ⑦모반자(謀反者) 등 일곱 부류를 말한다. 백범 김구가 이끈 한인애국단 소속 윤봉길, 이봉창 의사의 의거는 모두 이 일환으로 도모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가운데 ‘적의 수괴’는 조선총독, 정무총감, 도지사, 경찰서장 등 고관 가운데 일본인들을 말한다. 그밖에 매국적, 즉 매국노를 비롯해 고등경찰, 밀정, 친일부호, 총독부 관리, 불량배, 모반자 등은 전부 조선인들이 그 대상이다. 불량배와 모반자가 여기에 포함된 것은 다소 의아하게 여길 수 있는데 설명을 보태자면 이렇다. 1920년대 이후 민족진영에서는 독립군 군자금 마련을 위해 지역의 토호들을 찾아가 기부를 요구한 사례가 더러 있었다. 그런데 불량배 가운데 독립군을 사칭해 강도짓을 하다가 일경에 적발된 경우가 발생해 민족진영의 이미지와 군자금 모금활동 등에 적잖은 타격을 주기도 했다. 1920년대 당시 국내신문에는 ‘짝퉁 독립군’들의 강도 행각 기사가 심심찮게 실렸는데 당시 신문에서는 이런 강도들을 ‘시국(時局) 표방 강도’라고 불렀다. 한 편에서는 망명지에서 풍찬노숙하는 항일투사들이 있었는가 하면 또 다른 한 편에서는 이들을 빙자해 강도짓을 하는 기생충 같은 존재들도 있어다. 1921년~1929년 사이에 발행된 <조선일보> 기사 가운데 ‘시국 표방 강도’라는 제목이 들어간 기사가 무려 106건이나 된다. ‘시국 표방 강도’가 급증하자 급기야 총독부는 특별 단속법 제정을 검토하기도 했다. 이밖에 중요한 비밀을 누설하거나 동지를 배반한 자도 불량배에 포함시켰다. 마지막으로 ‘모반자(謀反者)’란 어떤 부류의 자들을 말할까? <독립신문>의 실린 내용에 따르면, 독립운동에 가담키로 해놓고서 도중에 변절하여 역으로 민족진영에 해를 끼친 자를 말한다. 일제통치 35년 동안에, 특히 말기로 가면서 민족진영 인사 가운데 변절자가 적지 않게 속출하였다. 심지어 ‘민족대표 33인’ 가운데서도 변절자가 나왔으며 평소 지사(志士)로 추앙받던 인물 가운데 지조를 버린 사람도 더러 있었다. 그밖에도 사당(私黨)을 만들어 민족진영에 장해가 된 자도 ‘모반자’에 포함돼 있는데 이들 역시 처단 대상으로 지목됐다. 한편 임시정부와는 별도로 약산 김원봉(金元鳳)이 이끈 의열단(義烈團)에서도 창단 초기부터 ‘칠가살(七可殺)’을 규정했었다. 의열단에서 규정한 ‘칠가살’ 은 ①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군부 수뇌 ③대만 총독 ④매국적 ⑤친일파 거두 ⑥적의 밀정 ⑦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악덕 지주) 등으로 임시정부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불량배와 모반자가 빠지고 대만 총독과 반민족적 토호가 대신 들어간 셈이다. 대만 총독이 포함된 것은 다소 의외이나 그 역시 일본인 고관이라는 점에서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의열단은 ‘칠가살’ 이외에도 ‘오파괴(五破壞)’ 를 별도로 정해 일제의 주요통치 기관 파괴공작에 나섰다. 그 대상은 ①조선총독부 ②동양척식회사 ③매일신보사 ④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주요기관 등이 그것이다. 의열단원 가운데 김익상 의사는 1921년 당시 남산에 있던 조선총독부에 폭탄을 투척하였으며, 박재혁 의사는 1920년 부산경찰서에, 김상옥 의사는 1923년 서울 종로경찰서에 각각 폭탄을 투척했다. 이밖에도 나석주 의사는 일제 경제침략의 본산인 동양척식회사에 폭탄을 던졌으며, 이재명 의사는 매국노 이완용을 칼로 찔러 중상을 입히기도 했다. 일제 식민지인 조선과 대만의 최고통치자였던 총독에 대한 처단도 예외가 아니었다. 1919년 3.1만세의거로 데라우치 총독이 교체되고 그해 9월 해군대장 출신의 사이토(齋藤實)가 신임총독으로 부임했다. 사이토가 서울역에 내려 남산 총독관저로 향하는 순간 대한노인단 소속 강우규(姜宇奎) 의사가 64세의 노구에도 불구하고 그를 향해 폭탄을 투척했다. 대만총독을 처단하려고 1928년 대만으로 건너간 조명하 의사는 일황 히로히토의 장인 구니노미야(久邇宮邦彦王) 육군대장이 육군특별검열사로 대만에 온다는 소식을 듣고서 환영행사를 마치고 가던 그를 독검으로 찔러 중상을 입혔는데 이때의 부상으로 구니노미야는 이듬해 1월에 죽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