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건 [關鍵]은 어떤 일의 성패나 추이를 가름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나 요인. 빗장과 자물쇠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 '치촬'은 속발을 하고 상투에 쓰는 작은 건을 가리킨다.
* '결건'과 '뇌건'은 무인들이 많이 사용했다. 잘 된 만화 삼국지를 보면 장비나 관우가 투구 벗었을 때 결건이나 뇌건을 쓰고 있다.
* '흑개책'은 문관이 쓰던 것.
* '윤건'은 문관들이 주로 썼고, 흔히 책사들이 쓰곤 했다. 중국 드라마에선 제갈공명에게 꼭 이걸 씌우더라. ㅎ
* '유건'은 명나라 때 유생들이 일상적으로 쓰고 다녔다.
* '순양건'은 이름 그대로 순양자 여동빈에게서 유래한 건이다. 당의 시인 백거이(자, 낙천)가 즐겨 썼다하여 낙천건樂天巾이라고도 한다.
* '평상책'은 무관이 쓰던 것.
* '소포파'는 치촬과 비슷해 보이는데 차이는 나도 모르겠다. ㅎ
* '주자복건'은 '복건'이라고도 하며 왕이나 높은 선비[王公雅士]들의 전용이었다. 우리네 '복건'과 동일하다.
* '주건'은 용도를 못 찾았다. 요즘 힙합하는 이들이 수건으로 저 모양 많이 만들던데. ㅎ
* '호연건'은 당의 시인 맹호연에게서 유래한 건이라 한다. 눈이 올 때 사용했다 한다.
* '방건'은 명나라 시절 유행했다는 이른바 '사방평정건四方平定巾'이다.
* '동성건'은 송나라 때 유행했다는 선비용 건이다. 그림은 당의 시인 백거이의 초상이더라. 二伩巾은 정확한 이름이 뭔지 모르겠더라. 伩은 간자도 번자도 아니던데, 이 그림을 취합한 이가 오타를 낸 걸까나. -_-
관건 [關鍵]은 어떤 일의 성패나 추이를 가름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나 요인. 빗장과 자물쇠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 '치촬'은 속발을 하고 상투에 쓰는 작은 건을 가리킨다.
* '결건'과 '뇌건'은 무인들이 많이 사용했다. 잘 된 만화 삼국지를 보면 장비나 관우가 투구 벗었을 때 결건이나 뇌건을 쓰고 있다.
* '흑개책'은 문관이 쓰던 것.
* '윤건'은 문관들이 주로 썼고, 흔히 책사들이 쓰곤 했다. 중국 드라마에선 제갈공명에게 꼭 이걸 씌우더라. ㅎ
* '유건'은 명나라 때 유생들이 일상적으로 쓰고 다녔다.
* '순양건'은 이름 그대로 순양자 여동빈에게서 유래한 건이다. 당의 시인 백거이(자, 낙천)가 즐겨 썼다하여 낙천건樂天巾이라고도 한다.
* '평상책'은 무관이 쓰던 것.
* '소포파'는 치촬과 비슷해 보이는데 차이는 나도 모르겠다. ㅎ
* '주자복건'은 '복건'이라고도 하며 왕이나 높은 선비[王公雅士]들의 전용이었다. 우리네 '복건'과 동일하다.
* '주건'은 용도를 못 찾았다. 요즘 힙합하는 이들이 수건으로 저 모양 많이 만들던데. ㅎ
* '호연건'은 당의 시인 맹호연에게서 유래한 건이라 한다. 눈이 올 때 사용했다 한다.
* '방건'은 명나라 시절 유행했다는 이른바 '사방평정건四方平定巾'이다.
* '동성건'은 송나라 때 유행했다는 선비용 건이다. 그림은 당의 시인 백거이의 초상이더라. 二伩巾은 정확한 이름이 뭔지 모르겠더라. 伩은 간자도 번자도 아니던데, 이 그림을 취합한 이가 오타를 낸 걸까나. -_-a 모양은 우리네 '탕건'과 닮았는데.
* '만자건'의 사진이 누구인지 아실 분 많을 것이다. 김용의 원작 《소오강호》에서는 악녀였지만, 이 영화 《동방불패》에서는 귀여운 사매 악영산으로 나온 이가흔이다. 무관들이 주로 쓰던 건이다.
* '망건'은 조선 시대 양반들이 상용하던 그것이다. 사진의 주먹만 한 상투는 속발할 때, 배코 치기(상투를 앉히려고 정수리를 깎아낸 자리를 배코라 한다)를 안 해서 그렇다. 중국은 상투에 비녀를 꽂았고, 우리는 동곳을 꽂았다.
* '장자건'은 '남화건'이라고도 하며 주로 도사들이 쓰던 건이다.
* '유건'은 상동.
* '절상건(익선관)'은 조선의 왕들이 썼던 그것. 절상건은 송나라 때, 익선관은 명나라 때의 명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