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수[易水]는 중국(中國) 하북성(河北省)에 있는 강 이름이다. 어부지리 고사의 배경이다. 조(趙)나라가 연(燕)나라를 치려 하였는데, 때마침 연나라에 와 있던 소진(蘇秦)의 아우 소대(蘇代)는 연나라 왕의 부탁을 받고 조나라의 혜문왕(惠文王)을 찾아가 이렇게 설득하였다. "이번에 제가 이 곳으로 오는 도중에 역수(易水)를 건너오게 되었습니다. 마침 민물조개가 강변에 나와 입을 벌리고 햇볕을 쪼이고 있는데 황새란 놈이 지나가다 조갯살을 쪼아 먹으려 하자 조개는 깜짝 놀라 입을 오므렸습니다. 그래서 황새는 주둥이를 물리고 말았습니다. 황새는 생각하기를 오늘 내일 비만 오지 않으면 바짝 말라 죽은 조개가 될 것이다 하였고, 조개는 조개대로 오늘 내일 입만 벌려 주지 않으면 죽은 황새가 될 것이다 생각하여 서로 버티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때 마침 어부가 이 광경을 보고 황새와 조개를 한꺼번에 망태 속에 넣고 말았습니다. 지금 조나라가 연나라를 치려 하시는데 두 나라가 오래 버티어 백성들이 지치게 되면 강한 진나라가 어부가 될 것을 저는 염려합니다. 그러므로 대왕께서는 깊이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소대의 이 비유를 들은 혜문왕은 과연 옳은 말이라 하여 연나라 공격계획을 중지하였다.
역수[易水]는 중국(中國) 하북성(河北省)에 있는 강 이름이다. 어부지리 고사의 배경이다. 조(趙)나라가 연(燕)나라를 치려 하였는데, 때마침 연나라에 와 있던 소진(蘇秦)의 아우 소대(蘇代)는 연나라 왕의 부탁을 받고 조나라의 혜문왕(惠文王)을 찾아가 이렇게 설득하였다. "이번에 제가 이 곳으로 오는 도중에 역수(易水)를 건너오게 되었습니다. 마침 민물조개가 강변에 나와 입을 벌리고 햇볕을 쪼이고 있는데 황새란 놈이 지나가다 조갯살을 쪼아 먹으려 하자 조개는 깜짝 놀라 입을 오므렸습니다. 그래서 황새는 주둥이를 물리고 말았습니다. 황새는 생각하기를 오늘 내일 비만 오지 않으면 바짝 말라 죽은 조개가 될 것이다 하였고, 조개는 조개대로 오늘 내일 입만 벌려 주지 않으면 죽은 황새가 될 것이다 생각하여 서로 버티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때 마침 어부가 이 광경을 보고 황새와 조개를 한꺼번에 망태 속에 넣고 말았습니다. 지금 조나라가 연나라를 치려 하시는데 두 나라가 오래 버티어 백성들이 지치게 되면 강한 진나라가 어부가 될 것을 저는 염려합니다. 그러므로 대왕께서는 깊이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소대의 이 비유를 들은 혜문왕은 과연 옳은 말이라 하여 연나라 공격계획을 중지하였다. 연(燕)나라는 전국 시대의 전국 칠웅 가운데 하나이다. 동쪽으로는 조선, 남쪽으로는 역수(易水)까지 영토가 이천여 리에 달한다. 형가가 진나라로 떠날 때, 태자와 눈먼 친구 '고점리'의 배웅을 받고 '역수'를 건너면서 부른 노래가 바로 역수가(易水歌)이다 "바람은 서늘하게 불어오는데 역수의 물은 차갑구나 장사가 한 번 떠나가면 다시는 돌아오지 못하리" 기원전 222년쯤 가을, 연(燕)나라 태자 단(丹)의 일행은 흰 옷과 흰 갓 차림으로 역수(易水·지금의 북경 서남쪽) 가에 모였다. 진시황을 암살하러 떠나는 형가(荊軻)를 전송하는 자리였다. 자객(刺客) 형가(荊軻)가 진시황을 암살하러 떠날 때, 이곳 역수에서 형가(荊軻)가 연나라 태자 단과 이별할 때 장사는 비분강개하였다. 장사의 결의에 머리카락은 관을 찌르네. 옛 사람은 이미 죽었으나 오늘날 물은 오히려 차갑기만 하구나. 분류: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