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도사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길게 묶은 두발로 도계를 만들어 묶는 일이다. 이 도계 위에 보통은 혼원모(混元帽)나 남화건(南華巾)을 쓴다. 속발(束髮)(상투머리)을 했을 때 는 일자건(一字巾)을 사용한다. 상투는 비녀로 고정시키는 데 비녀는 목제 또는 옥제품이다. 도복의 색깔은 보통 남청색(남색)이다. 청색은 오행에 서는 동방, 갑을목, 태괘(泰掛)의 자리이고, '(靑龍生旺)청룡생왕의 기'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복이 남청색에만 한정 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법 의례의식의 경우나 방장직에 있는 도사들은 황색이나 자색도 사용한다. 맨 처음에 입는 도복은 '대괘(大掛)'나 '득라(得羅)'라고 한다. 머리에 쓰는 건 역시 여러 종류가 있다. 일자건, 고산건, 제갈건, 혼원건, 찰건(紮巾), 장자건(남화건), 자양건(紫陽巾), 구양건(九陽巾), 여조건(呂祖巾), 오조건(五祖巾) 등이 그것이다. 일자건은 속발할 때 쓰는 건이며, 나머지는 모두 예식용이다. 각종 전례(典禮) 때에는 임의대로 사용 해도 괜찮다. 민소간의 <<청규원묘(淸規元妙)>>에는 전진건이라 하며 다음의 아홉 종류를 들고 있다.
|
abstract
| - 도사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길게 묶은 두발로 도계를 만들어 묶는 일이다. 이 도계 위에 보통은 혼원모(混元帽)나 남화건(南華巾)을 쓴다. 속발(束髮)(상투머리)을 했을 때 는 일자건(一字巾)을 사용한다. 상투는 비녀로 고정시키는 데 비녀는 목제 또는 옥제품이다. 도복의 색깔은 보통 남청색(남색)이다. 청색은 오행에 서는 동방, 갑을목, 태괘(泰掛)의 자리이고, '(靑龍生旺)청룡생왕의 기'를 나타낸다. 그러나 도복이 남청색에만 한정 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법 의례의식의 경우나 방장직에 있는 도사들은 황색이나 자색도 사용한다. 맨 처음에 입는 도복은 '대괘(大掛)'나 '득라(得羅)'라고 한다. 머리에 쓰는 건 역시 여러 종류가 있다. 일자건, 고산건, 제갈건, 혼원건, 찰건(紮巾), 장자건(남화건), 자양건(紫陽巾), 구양건(九陽巾), 여조건(呂祖巾), 오조건(五祖巾) 등이 그것이다. 일자건은 속발할 때 쓰는 건이며, 나머지는 모두 예식용이다. 각종 전례(典禮) 때에는 임의대로 사용 해도 괜찮다. 민소간의 <<청규원묘(淸規元妙)>>에는 전진건이라 하며 다음의 아홉 종류를 들고 있다. 1.
* 당건(唐巾) 2.
* 충화건(沖和巾) 3.
* 호연건(浩然巾 ) 4.
* 소요건(逍遙巾) 5.
* 자양건 6.
* 일자건 7.
* 윤건 8.
* 삼교건(三敎巾) 9.
* 구양건 당건은 당의 여순양조사가 쓰던 식을 따른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순양의 후예라고 한다. 아울러 노인은 충화건, 젊은이는 소용건, 추운기후에는 폭건(幅巾), 눈이 올 때에는 호연건, 보통도사는 자양건이나 일자건, 상급도사들은 초진계에는 윤건언월관을, 중극계에는 삼교건삼태관을, 천선계에는 충화건오악관을 착용한다. 건과 더불어 착용하는 것은 관(冠)이다. 관건(冠巾)은 도사의 득도식을 '관건의 예'라고 부르는 것에도 알 수 있듯이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예식에는 반드 시 관을 사용하는 것이 풍습이다. 관은 오악관, 연화관, 삼태관 등 여러종류가 있고 목제 혹은 옥제가 있다. 관은 마음데로 사용할 수가 없다. 우선 '관건의 예'를 마치지 않는 사람은 사용할 수 없고, 사용하는 관의 종류에 따라 도복은 달라 지지만 일반적으로 월관을 사용한다. 월관은 대괘와 득라와 같은 도복을 입었을 때 사용하는 것인데 연화관을 사용할 때는 천선화(동)의(天仙花(洞)衣)를 입어야한다. 그러나 천선화의는 도사 마음데로 입을 수 있는 옷이 아니기 때문에 관을사용하는 데에도 자연히 습관적으로 여러 가지 제약 을 받는다. 도복을 입고, 관건을 쓰고, 백말자(흰버선)를 신고 운리 또는 청혜라고 하는 신을 신은 도사의 모습은 마치 선비와도 같다고 할 수 있다. 분류:도건 분류:도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