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삼수 읍성(三水邑城)은 조선. 국가지정문화재 제520호이다 양강도 삼수군.(동쪽은 함경북도, 서쪽은 자강도, 남쪽은 함경남도, 북쪽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해 있다). 15세기 중엽의 유적. 삼수읍의 삼수천과 관흥천이 합수되는 삼각지점의 언덕 위에 축성되어 있다. 본래 갑산군의 성보로 시작된 삼수는 1441년 만호가 설치되고 그 후 군, 도호부 등으로 승격되었다가 1464년 과거의 신파에서 현위치로 옮겨오면서 다시 군으로 되었다. 삼수읍성은 이 무렵에 쌓아졌다. 이때에는 압록강행성과 두만강행성이 쌓아지고 평안도의 추파구자(장강)와 구성, 함경도의 북청, 고원 그리고 그 이북지역에 성들을 많이 쌓아 북방방위를 강화하던 시기였다. 삼수읍성은 삼수천과 관홍천이 합수되는 삼각지점의 언덕받이에 쌓은 석성으로서 그 평면은 대체로 남북으로 긴 타원형으로 생겼는데 동쪽 성벽의 대부분은 거의 직선으로 되었다. 성의 둘레는 약 1,150m이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이 성에 191개의 성가퀴와 8개의 포루, 3개의 우물이 있었다.
|
abstract
| - 삼수 읍성(三水邑城)은 조선. 국가지정문화재 제520호이다 양강도 삼수군.(동쪽은 함경북도, 서쪽은 자강도, 남쪽은 함경남도, 북쪽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해 있다). 15세기 중엽의 유적. 삼수읍의 삼수천과 관흥천이 합수되는 삼각지점의 언덕 위에 축성되어 있다. 본래 갑산군의 성보로 시작된 삼수는 1441년 만호가 설치되고 그 후 군, 도호부 등으로 승격되었다가 1464년 과거의 신파에서 현위치로 옮겨오면서 다시 군으로 되었다. 삼수읍성은 이 무렵에 쌓아졌다. 이때에는 압록강행성과 두만강행성이 쌓아지고 평안도의 추파구자(장강)와 구성, 함경도의 북청, 고원 그리고 그 이북지역에 성들을 많이 쌓아 북방방위를 강화하던 시기였다. 삼수읍성은 삼수천과 관홍천이 합수되는 삼각지점의 언덕받이에 쌓은 석성으로서 그 평면은 대체로 남북으로 긴 타원형으로 생겼는데 동쪽 성벽의 대부분은 거의 직선으로 되었다. 성의 둘레는 약 1,150m이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이 성에 191개의 성가퀴와 8개의 포루, 3개의 우물이 있었다. 이 가까운 곳에 나난보를 비롯한 여러 성보들이 있어 서로 연결된 방위진을 펼치고 있었다. 성의 남쪽에는 주작문이, 동쪽에동문은 지금도 잘 보존관리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