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 - 여태후는 전한 혜제가 죽은 후 두 명의 소제(少帝) 중 한 명은 원래 평민의 소생이었다. 전한 소제 유공(漢少帝 劉恭, ? - 기원전 184년, 재위 : 기원전 188년 9월 - 기원전 184년 8월)은 전한 제3대 황제이다. 역대 황제에게 포함하지 않을 경우도 있다. 한소제(漢昭帝, 기원전 94-기원전 74)는 유불릉(劉弗陵)으로 전한의 황제이다. 무제와 구익부인 조씨 조첩여 소생이다. 음식도 조금밖에 먹지 않았다. 무제 의 눈에 들어 입궁하였고 그의 총애를 받아 임신 14개월 만에 아들 전한 소제 을 그에게 안겨주었다. 전설에는 24개월 만에 출산했다고도 전한다. 한무제는 여태자 일가를 역모로 처단한 뒤, 창읍애왕 마저 기원전 88년 죽자, 기원전 86년 8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다. 한무제(武帝)의 아들이다. 어린 나이로 즉위하여 통치 기간 동안 곽광(霍光)이 정치를 보필했다. 무제의 정책을 이어받아 둔전(屯田)으로 주민을 이주시켰다. 기원전 87년 무제 사후 한 소제가 즉위하고 곽광(涇光), 김일제(金日喪), 상관걸(上官桀) 등이 유지를 받들어 정무를 보좌하였다. 상관걸 일당은 곽광을 고발하는 연왕의 편지를 위조하여 한소제에게 올리게 했다. 한소제가 즉위하자 연왕 유단은 원한을 품고 역모를 죄했는데, 평소 곽광을 질투하고 있던 상관걸이 연왕과 공모했다. 한사군은 설치 20여년만인 한나라 소제 때, 기원전 82년에는 진번군, 임둔군을 폐지하였고 중국의 낙랑군은 의무려산 서쪽으로 내려갔다. 현토군은 한나라 무제 3년(서기전 108년) 설치되었다. (현토)군의 치소는 처음 옥저성에 두었다가 한나라 소제 시원 5년(서기전 82년) 고구려 현으로 옮겼다. 지리산의 북쪽 기슭에는 반야봉이 있고 그 봉우리 좌우에는 黃嶺과 鄭嶺이라는 두 고개가 있다. 옛날 한나라 소제(B.C. 87~74)가 즉위한 지 3년에 마한의 왕이 진한과 변한의 난리를 피하여 이곳에 도성을 쌓았다. 한단고기에는 "한나라 소제(B.C.87~74)때, 고두막이 부여의 옛도읍을 차지하여 동명이라고 나라 이름을 부르니 이것이 곧 신라의 옛땅이다. 누란이 중간에서 길을 막고 한나라 사신을 자주 공격했기 때문에, 한나라 소제 원봉 4년(昭帝元鳳四年: 기원전 77)에 대장군 곽광( 光)이 전개자(傳介子)를 보내어 누란왕을 참살했다. 원봉 (元鳳)은 중국 전한 (前漢) 소제 (昭帝)의 두번째 연호이다. 기원전 80년 에서 기원전 75년 까지 6년 동안 사용하였다. 한 소제 유의 (漢少帝 劉懿,? ~ 125년 )는 후한 의 제7대 황제(재위: 125년 )이다. 아버지는 제북혜왕 유수(濟北惠王 劉寿). 제3대 황제 장제의 손자이다. 제6대 황제 안제의 사후, 황후의 염씨(閻氏)에 의해서 옹립 된다. 한소제 유변 (漢少帝 劉辯, 176년 ~ 190년)은 후한 (後漢)의 제13대 황제이다. 영제(靈帝)의 장남으로 하태후(何太后)의 소생이다. 189년에 영제가 서거하고, 동탁이 들이닥친 낙양성, 부황 사후 제위에 올랐으나 동탁(童卓)에 의해 폐위되어 홍농왕(弘農王)으로 강등당하고 이듬해 살해되었다. 진류왕을 황제로 옹립했다. 헌제 옹립 직후 동탁이 소제와 하태후를 죽였다. 한나라는 소제에서 헌제로 황제가 바뀌게 되고, 많은 시련속에 동탁이 죽고, 다시 영웅들이 일어난다. 1.
* 넘겨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