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허준[許浚, 명종 1년(1546)∼광해군 7년(1615)], 자는 청원(淸源), 호는 구암(龜巖), 김포 출신으로 본관은 양천(陽川), 조부는 경상우수사 허곤(許琨), 아버지는 용천부사 허론(許碖), 배위는 안동김씨이다. 선조 7년(1574) 29세 때 의과에 급제하여 의관으로 내의원에 봉직하면서 내의·태의·어의로서 명성을 높였을 뿐 아니라 《동의보감》을 편술하여 우리나라 의학의 실력을 청나라 및 일본에까지 과시하였다. 《동의보감》은 그 당시의 의학지식을 거의 망라한 임상의학의 백과전서로서 내경(內景)·외형(外形)·잡병(雜病)·탕액(湯液)·침구(鍼灸) 등 5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의학실력을 동양 여러 나라에 드러나게 한 동양의학의 보감으로서, 출판된 뒤 곧 일본과 중국에 전해져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계속 출판되어 귀중한 한방임상 의학서가 되었다. 허준은 《동의보감》 이외에도 많은 의방서 등을 증보 개편하거나, 또는 알기 쉽게 한글로써 해석, 출판하였다.
|
abstract
| - 허준[許浚, 명종 1년(1546)∼광해군 7년(1615)], 자는 청원(淸源), 호는 구암(龜巖), 김포 출신으로 본관은 양천(陽川), 조부는 경상우수사 허곤(許琨), 아버지는 용천부사 허론(許碖), 배위는 안동김씨이다. 선조 7년(1574) 29세 때 의과에 급제하여 의관으로 내의원에 봉직하면서 내의·태의·어의로서 명성을 높였을 뿐 아니라 《동의보감》을 편술하여 우리나라 의학의 실력을 청나라 및 일본에까지 과시하였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면서 허준은 선조의 피난지인 의주까지 호종하여 왕의 곁을 조금도 떠나지 않고 끝까지 모셔 호종 공신(扈從功臣)이 되었으며, 그 뒤에도 어의로서 내의원에 계속 출사하여 의료의 모든 행정에 참여하면서 왕의 건강을 돌보았다. 그러던 중 1596년에 선조의 명을 받들어 유의 정작(鄭碏), 태의 양예수(楊禮壽)·김응탁(金應鐸)·이명원(李命源)·정예남(鄭禮男) 등과 함께 내의원에 편집국을 설치하고 《동의보감》을 편집하기 시작하였으나 그 다음해에 다시 정유재란을 만나 의인들은 사방으로 흩어지고 편집의 일은 중단되었다. 그 뒤 선조는 다시 허준에게 명하여 단독으로 의서 편집의 일을 맡기고 내장방서(內藏方書) 500권을 내어 고증하게 하였는데, 허준은 어의로서 내의원에서 의무에 종사하면서 조금도 쉬지 않고 편집의 일에 전심하여 10여년 만인 광해군 2년(1610)에 완성을 보게 되었는데, 25권 25책이다. 《동의보감》은 그 당시의 의학지식을 거의 망라한 임상의학의 백과전서로서 내경(內景)·외형(外形)·잡병(雜病)·탕액(湯液)·침구(鍼灸) 등 5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의학실력을 동양 여러 나라에 드러나게 한 동양의학의 보감으로서, 출판된 뒤 곧 일본과 중국에 전해져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계속 출판되어 귀중한 한방임상 의학서가 되었다. 허준은 《동의보감》 이외에도 많은 의방서 등을 증보 개편하거나, 또는 알기 쉽게 한글로써 해석, 출판하였다. 허준은 1601년 내의로서 정헌대부·지중추부사를 서임하였고, 1604년 6월에는 충근정량호성공신(忠勤貞亮扈聖功臣) 3등에 복명하면서 숙마 한필을 하사받았으며, 1606년 정월에 양평군 정일품 보국숭록대부를 가자 받았다. 그런데 종래 우리나라의 계급으로는 의업은 중서급(中庶級)에 속하였는데, 허준이 대신들과 계급을 같이하는 동반의 부군(府君)과 보국(輔國)의 지위를 가지게 됨으로써 사간원과 사헌부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개정할 것을 계청하였다. 처음에는 그럴 필요가 없다는 것을 고집하였으나 선조도 끈질긴 계속적인 계청에 할 수없이 그 가자를 한때 보류하도록 하였다. 1607년 11월에 선조의 환후가 점차로 위독하게 되어 그 다음해 2월에 죽을 때까지 허준은 입진의 수의(首醫)로서 다른 어의들을 독려하여 어약을 논하는 모든 일을 전담하였다. 광해군이 왕위에 오른 뒤에도 어의로서 왕의 측근에서 총애를 받아왔다. 선조가 죽은 뒤 종래의 예에 따라 주치의 수의에게 책임을 물어 형식적으로 대죄를 하게 되었으나 광해군의 만류로 사면되었다. 1613년 11월에 70세를 일기로 죽게 되자, 호성공로의 어의로서 선조가 일찍이 보류하였던 부원군과 보국의 가자를 추증하였다. 허준은 의인으로서 최고의 명예인 당상의 부군과 보국의 지위를 가졌다. 묘는 비무장지대에 방치되었다가 1991년 두 조각이 난 채 묻혀있는 비석에서 ‘陽平○ ○聖功臣 ○浚’이라는 글자가 판독되어 허준의 묘임이 확인되었다. 산단의 묘는 누구의 묘인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허준 생모의 묘로 추정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