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dbkwik:resource/TvtDOOpPVsfoPQ1U5CzRfg==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134.155.108.49:8890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 오음약보
rdfs:comment
  • 오음약보(五音略譜)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한 기보법의 하나이다. 조선 세조 때 만들어 쓰던 기보법으로 세조실록·《대악후보(大樂後譜)》·《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쓰였으나 그 후에는 별로 쓰지 못하였다. 기본음(基本音-主音)을 宮(궁)이라 적고, 그 음악의 음계에 따라 궁의 바로 위 음부터 차례로 上一·上二·上三…으로 궁의 바로 아래음부터 차례로 下一·下二·下三…으로 적어나간다. 이 오음약보는 5음계로 된 음악에 주로 쓰이는 것이므로 향악에 알맞고 7음계인 아악은 공척보(工尺譜)의 문자를 빌려 쓴다. 궁은 계이름이지 음이름이 아니므로 음높이를 정하기 위하여 악보 처음에 황종궁(黃種宮) 혹은 협종궁(夾鐘宮)이라고 적는다. 또 5음약보는 음계를 미리 알아야 그 음계에 따라 음을 찾아 연주하는 것이므로 먼저 평조(平調) 혹은 계면조(界面調)라는 것을 밝힌다. 계면조에서는 宮과 上一과는 단3도, 上二와는 4도, 上三과 5도, 上四와는 단7도가 되고, 宮과 下一과는 장2도, 下二와는 4도, 下三과는 5도, 下四와는 장6도가 된다. 평조에서는 宮과 上一과는 장2도, 上二와는 4도, 上三과 5도, 上四와는 장6도가 되고, 宮과 下一과는 단3도, 下二와는 4도, 下三과는 5도, 下四와는 단7도가 된다.
dcterms:subject
dbkwik:ko.music/pr...iPageUsesTemplate
abstract
  • 오음약보(五音略譜)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한 기보법의 하나이다. 조선 세조 때 만들어 쓰던 기보법으로 세조실록·《대악후보(大樂後譜)》·《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쓰였으나 그 후에는 별로 쓰지 못하였다. 기본음(基本音-主音)을 宮(궁)이라 적고, 그 음악의 음계에 따라 궁의 바로 위 음부터 차례로 上一·上二·上三…으로 궁의 바로 아래음부터 차례로 下一·下二·下三…으로 적어나간다. 이 오음약보는 5음계로 된 음악에 주로 쓰이는 것이므로 향악에 알맞고 7음계인 아악은 공척보(工尺譜)의 문자를 빌려 쓴다. 궁은 계이름이지 음이름이 아니므로 음높이를 정하기 위하여 악보 처음에 황종궁(黃種宮) 혹은 협종궁(夾鐘宮)이라고 적는다. 또 5음약보는 음계를 미리 알아야 그 음계에 따라 음을 찾아 연주하는 것이므로 먼저 평조(平調) 혹은 계면조(界面調)라는 것을 밝힌다. 계면조에서는 宮과 上一과는 단3도, 上二와는 4도, 上三과 5도, 上四와는 단7도가 되고, 宮과 下一과는 장2도, 下二와는 4도, 下三과는 5도, 下四와는 장6도가 된다. 평조에서는 宮과 上一과는 장2도, 上二와는 4도, 上三과 5도, 上四와는 장6도가 되고, 宮과 下一과는 단3도, 下二와는 4도, 下三과는 5도, 下四와는 단7도가 된다.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