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ributes | Values |
---|
rdfs:label
| |
rdfs:comment
| - 전지왕(腆支王. ? ~ 420년, 재위: 405년 ~ 420년)은 백제의 제18대 왕이다. 이름은 여영(餘映) 또는 영(映). 《일본서기》에서는 직지왕(直支王), 《삼국유사》왕력에서는 진지왕(眞支王)이다.《송서 宋書》에는 여영(餘映)으로 표기되었다. 아신(阿莘)의 맏아들이다. 아신이 재위 3년에 태자로 삼았고, 6년에 왜국에 볼모로 갔다. 팔수 태후는 왜왕 응신 천황의 딸로, 전지왕이 왜에 인질로 가 있을 때 혼인하였으며, 전지왕이 귀국할 때 구이신왕을 임신한 채 함께온 여자이다. 해도(海島)에 머물렀으나 백성들이 설례를 죽이고 왕으로 추대하였다. 전지왕의 즉위는 해씨세력의 지지에 힘입은 바가 컸다. 그리하여 즉위 후 해충을 달솔(達率)로 삼았다. 같은 해 사신을 진(晉)나라에 보내고, 408년(전지왕 4) 상좌평(上佐平)의 직제를 처음으로 제정하고 여신(餘信)을 이에 임명하였다. 그는 전지왕 등극 이후 내신좌평에 임명된 것으로 봐서 혈례를 제거하는 데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그는 백제 역사상 최초로 상좌평에오른 인물이다. 416년 동진의 안제로부터 사지절도독 백제제군사 진동장군 백제왕에 책봉되었다. 분류:백제의 왕
- 전지왕 [腆支王, ?~ 420(전지왕 16)]은 백제의 제18대 왕(405~420 재위)이다. 직지왕(直支王) 또는 진지(眞支)라고도 하며 〈양서 梁書〉에는 영(映)이라고 전한다. 아신왕의 맏아들이며, 왕비는 팔수 부인(八須夫人)이다. 394년(아신왕 3)에 태자가 되었고, 397년부터 왜국에 볼모로 가 있었다. 전지왕(腆支王, 재위405-420) 일본에서는 대랑자(大郞子) 혹은 의부부저왕(意富富杵王)이라고 하였다. 직지왕(直支王)이라고도 불렀다. 그 이유는 그가 일본에 세운 절 이름인 치은사(置恩寺)와도 관련된다. 해씨 세력의 집권 아신왕은 재위 14 년이 되는 해에 세상을 떠났다 . 그런데 그의 죽음은 갑작스러운 일이었던 것 같다. 405년에 아신왕이 죽자 동생 훈해(訓解)가 정사를 대신하며 그의 귀국을 기다렸으나 막내 동생 설례(碟禮)가 훈해를 죽이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
dcterms:subject
| |
dbkwik:ko.history/...iPageUsesTemplate
| |
abstract
| - 전지왕(腆支王. ? ~ 420년, 재위: 405년 ~ 420년)은 백제의 제18대 왕이다. 이름은 여영(餘映) 또는 영(映). 《일본서기》에서는 직지왕(直支王), 《삼국유사》왕력에서는 진지왕(眞支王)이다.《송서 宋書》에는 여영(餘映)으로 표기되었다. 아신(阿莘)의 맏아들이다. 아신이 재위 3년에 태자로 삼았고, 6년에 왜국에 볼모로 갔다. 팔수 태후는 왜왕 응신 천황의 딸로, 전지왕이 왜에 인질로 가 있을 때 혼인하였으며, 전지왕이 귀국할 때 구이신왕을 임신한 채 함께온 여자이다. 해도(海島)에 머물렀으나 백성들이 설례를 죽이고 왕으로 추대하였다. 전지왕의 즉위는 해씨세력의 지지에 힘입은 바가 컸다. 그리하여 즉위 후 해충을 달솔(達率)로 삼았다. 같은 해 사신을 진(晉)나라에 보내고, 408년(전지왕 4) 상좌평(上佐平)의 직제를 처음으로 제정하고 여신(餘信)을 이에 임명하였다. 그는 전지왕 등극 이후 내신좌평에 임명된 것으로 봐서 혈례를 제거하는 데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그는 백제 역사상 최초로 상좌평에오른 인물이다. 416년 동진의 안제로부터 사지절도독 백제제군사 진동장군 백제왕에 책봉되었다. 분류:백제의 왕
- 전지왕 [腆支王, ?~ 420(전지왕 16)]은 백제의 제18대 왕(405~420 재위)이다. 직지왕(直支王) 또는 진지(眞支)라고도 하며 〈양서 梁書〉에는 영(映)이라고 전한다. 아신왕의 맏아들이며, 왕비는 팔수 부인(八須夫人)이다. 394년(아신왕 3)에 태자가 되었고, 397년부터 왜국에 볼모로 가 있었다. 전지왕(腆支王, 재위405-420) 일본에서는 대랑자(大郞子) 혹은 의부부저왕(意富富杵王)이라고 하였다. 직지왕(直支王)이라고도 불렀다. 그 이유는 그가 일본에 세운 절 이름인 치은사(置恩寺)와도 관련된다. 해씨 세력의 집권 아신왕은 재위 14 년이 되는 해에 세상을 떠났다 . 그런데 그의 죽음은 갑작스러운 일이었던 것 같다. 405년에 아신왕이 죽자 동생 훈해(訓解)가 정사를 대신하며 그의 귀국을 기다렸으나 막내 동생 설례(碟禮)가 훈해를 죽이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이때 전지는 아버지의 부음을 듣고 돌아가기를 청하자 왜국 왕이 군사 100명으로 호송하게 했다. 전지가 국경에 들어서자 한성인(漢城人) 해충(解忠)이 정세가 불안하니 경솔히 들어오지 말라고 했다. 이에 전지가 왜인을 시켜 자신을 호위하게 하면서 섬에서 기다렸더니 귀족들이 설례를 죽이고 그를 맞이해 왕으로 추대했다. 즉위한 뒤 406년에는 동명왕(東明王)의 사당에 제사지내고 죄수를 크게 사면했으며, 해충을 달솔(達率)로 삼고 한성의 조(租) 1,000석을 주었다. 407년에는 서제(庶弟)인 여신(餘信)을 내신좌평(內臣佐平)으로, 해수(解須)를 내법좌평(內法佐平)으로, 해구(解丘)를 병관좌평(兵官佐平)으로 임명했다. 408년에는 여신을 다시 상좌평(上佐平)으로 임명해 군국정사(軍國政事)를 맡겼다. 416년에 동진(東晉)의 안제(安帝)가 사신을 보내어 왕을 '사지절도독백제제군사진동장군백제왕'(使持節都督百濟諸軍事鎭東將軍百濟王)으로 책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