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 성격설 그런 거 믿는 게 이상합니다. 그래서 당신이 제 혈액형을 물어보는 것에 답하고 싶지가 않네요.” —과학도 ㄴ“대답을 회피하는 걸 보니 소심한 A형이군요!” —혈액형 성격설 지지자 혈액형 성격설 (血液型性格說) 은 1901년에 카를 란트슈타이너가 발견한 ABO식 혈액형 구분법에 따라 사람의 성격이 다르다는 설입니다. 이 가설에서 과학적 사실인 혈액형을 인용하기 때문에 가설 자체가 과학적인 근거에 입각하고 있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의사과학에 해당됩니다. 또한, 혈액형을 기준으로 사람의 성격을 단정짓는 것은 일종의 차별로 확장될 수도 있습니다. 간혹 혈액형 성격론 (血液型性格論) 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나, 과학적 검증이 이루어진 이론의 형식으로 제시된 적이 없기에 '혈액형 성격설'이 적절한 표기입니다.
“혈액형 성격설 그런 거 믿는 게 이상합니다. 그래서 당신이 제 혈액형을 물어보는 것에 답하고 싶지가 않네요.” —과학도 ㄴ“대답을 회피하는 걸 보니 소심한 A형이군요!” —혈액형 성격설 지지자 혈액형 성격설 (血液型性格說) 은 1901년에 카를 란트슈타이너가 발견한 ABO식 혈액형 구분법에 따라 사람의 성격이 다르다는 설입니다. 이 가설에서 과학적 사실인 혈액형을 인용하기 때문에 가설 자체가 과학적인 근거에 입각하고 있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의사과학에 해당됩니다. 또한, 혈액형을 기준으로 사람의 성격을 단정짓는 것은 일종의 차별로 확장될 수도 있습니다. 간혹 혈액형 성격론 (血液型性格論) 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나, 과학적 검증이 이루어진 이론의 형식으로 제시된 적이 없기에 '혈액형 성격설'이 적절한 표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