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년 봄 음력 3월에 탈해 이사금이 밤에 금성 서쪽의 시림(始林)의 숲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들었다. 날이 새기를 기다려 호공을 보내 살펴보게 하였더니, 금빛이 나는 조그만 궤짝이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흰 닭이 그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 호공이 돌아와서 아뢰자, 사람을 시켜 궤짝을 가져와 열어 보았더니 조그만 사내아기가 그 속에 있었는데, 자태와 용모가 기이하고 컸다. 탈해 이사금이 기뻐하며 좌우의 신하들에게 말하기를 "이는 어찌 하늘이 나에게 귀한 아들을 준 것이 아니겠는가?" 하고는 거두어서 길렀다. 성장하자 총명하고 지략이 많았다. 이에 알지(閼智)라 이름하고 금궤짝으로부터 나왔기 때문에 성을 김(金)이라 하였다. 《삼국유사》에도 거의 같은 전설이 기록되어 있으며, 탈해왕이 김알지를 태자로 책봉하였으나 후에 파사 이사금에게 양보했다고 한다. 파사가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사성부인이 당시 조정을 장악하고 있던 김알지의 손녀였기 때문이다. 이후의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의 7대손 미추 이사금이 김씨 최초로 왕에 즉위하였다. 알지에서 미추까지의 세보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세대수는 같다.
65년 봄 음력 3월에 탈해 이사금이 밤에 금성 서쪽의 시림(始林)의 숲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들었다. 날이 새기를 기다려 호공을 보내 살펴보게 하였더니, 금빛이 나는 조그만 궤짝이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흰 닭이 그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 호공이 돌아와서 아뢰자, 사람을 시켜 궤짝을 가져와 열어 보았더니 조그만 사내아기가 그 속에 있었는데, 자태와 용모가 기이하고 컸다. 탈해 이사금이 기뻐하며 좌우의 신하들에게 말하기를 "이는 어찌 하늘이 나에게 귀한 아들을 준 것이 아니겠는가?" 하고는 거두어서 길렀다. 성장하자 총명하고 지략이 많았다. 이에 알지(閼智)라 이름하고 금궤짝으로부터 나왔기 때문에 성을 김(金)이라 하였다. 《삼국유사》에도 거의 같은 전설이 기록되어 있으며, 탈해왕이 김알지를 태자로 책봉하였으나 후에 파사 이사금에게 양보했다고 한다. 파사가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사성부인이 당시 조정을 장악하고 있던 김알지의 손녀였기 때문이다. 이후의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의 7대손 미추 이사금이 김씨 최초로 왕에 즉위하였다. 알지에서 미추까지의 세보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세대수는 같다.
* 《삼국사기》 : 알지 → 세한(勢漢) → 아도(阿道) → 수류(首留) → 욱보(郁甫) → 구도(仇道) → 미추
* 《삼국유사》 : 알지 → 열한(熱漢) → 아도(阿都) → 수류(首留) → 욱부(郁部) → 구도(俱道 또는 仇刀) → 미추 일부 재야사학자들은 흉노족 김일제의 후손이 김알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경주 김씨를 중심으로 한 100여 개의 본관과 안동 권씨, 광산 이씨, 수성 최씨등은 김알지를 시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