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궁가[水宮歌]는 판소리 5마당 가운데 하나다. 병이 든 용왕이 토끼 간이 약이 된다는 말을 듣고 자라더러 토끼를 꾀어 용궁에 데려오게 하나, 토끼는 꾀를 내어 용왕을 속이고 세상으로 살아나간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으로 〈토끼타령〉·〈별주부가〉·〈토별가 兎鼈歌〉라고도 한다. 용궁에 사는 자라가 용왕의 병을 고치기 위해 육지로 올라와 토끼를 온갖 감언이설로 꾀어 용궁으로 데리고 간다. 그러나 토끼는 꾀를 내어 죽음을 모면하고 살아 돌아온다는 줄거리이다. 〈수궁가〉의 바디는 창자(唱者)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짜여져 있다. 중요한 대목으로는 김찬업(金贊業)의 더늠으로 알려진 중중모리의 〈토끼화상〉, 자라가 토끼 간을 구하려고 육지에 나올 때 역시 중중모리로 불리는 〈고고천변 皐皐天邊〉, 정춘풍(鄭春風)의 더늠으로 전해지는 진양조의 〈범피중류 泛彼中流〉가 있다. 이외에도 자진모리의 〈약성가 藥性歌〉, 엇중모리의 〈범타령〉, 중모리의 〈거 뉘가 날 찾나〉, 중중모리의 〈팔난세계 八難世界〉 대목 등이 유명하다. 현재 〈수궁가〉는 송흥록(宋興祿)에서 비롯한 동편제(東便制)와 박유전(朴裕全)에서 비롯한 강산제(江山制)의 두 계열로 전승되고 있다. 동편제는 이선유(李善有)·김연수(金演洙), 강산제는 정응민(鄭應珉)·정권진(鄭權鎭)에게 이어졌다. 분류:판소리 분류:수궁전
수궁가[水宮歌]는 판소리 5마당 가운데 하나다. 병이 든 용왕이 토끼 간이 약이 된다는 말을 듣고 자라더러 토끼를 꾀어 용궁에 데려오게 하나, 토끼는 꾀를 내어 용왕을 속이고 세상으로 살아나간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으로 〈토끼타령〉·〈별주부가〉·〈토별가 兎鼈歌〉라고도 한다. 용궁에 사는 자라가 용왕의 병을 고치기 위해 육지로 올라와 토끼를 온갖 감언이설로 꾀어 용궁으로 데리고 간다. 그러나 토끼는 꾀를 내어 죽음을 모면하고 살아 돌아온다는 줄거리이다. 〈수궁가〉의 바디는 창자(唱者)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짜여져 있다. 중요한 대목으로는 김찬업(金贊業)의 더늠으로 알려진 중중모리의 〈토끼화상〉, 자라가 토끼 간을 구하려고 육지에 나올 때 역시 중중모리로 불리는 〈고고천변 皐皐天邊〉, 정춘풍(鄭春風)의 더늠으로 전해지는 진양조의 〈범피중류 泛彼中流〉가 있다. 이외에도 자진모리의 〈약성가 藥性歌〉, 엇중모리의 〈범타령〉, 중모리의 〈거 뉘가 날 찾나〉, 중중모리의 〈팔난세계 八難世界〉 대목 등이 유명하다. 현재 〈수궁가〉는 송흥록(宋興祿)에서 비롯한 동편제(東便制)와 박유전(朴裕全)에서 비롯한 강산제(江山制)의 두 계열로 전승되고 있다. 동편제는 이선유(李善有)·김연수(金演洙), 강산제는 정응민(鄭應珉)·정권진(鄭權鎭)에게 이어졌다. 분류:판소리 분류:수궁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