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dbkwik:resource/byP9vl1NIl88KvoCHrU_Pw==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134.155.108.49:8890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 판소리
rdfs:comment
  • 판소리(또는 소리)는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는 한국 음악의 형식 중 하나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 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또한 2003년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판소리 공연은 광대와 고수, 그리고 청중이 같이 한다. 광대가 창을 하는 동안 고수는 장단을 맞춰 준다. 장단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엇모리, 휘모리 등이 있다. 광대는 창 사이사이에 창으로 되어 있지 않는 설명조의 말인 '아니리'를 넣기도 한다. 광대는 한 손에 부채나 손수건을 들고 몸짓으로 이야기의 상황을 표현하기도 한다. 청중은 조용히 듣고 있기보다는 추임새를 넣어줘 흥을 돋궈준다. 판소리의 기원설은 무가 기원설, 육자배기 토리설, 광대 기원설이 있다. 판소리는 18세기 초에 발달하여 19세기 말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작품으로 크게 열두 마당이 있었으나 그중 다섯 마당인 수궁가, 심청가, 적벽가, 춘향가, 흥보가만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그밖에도 여러 타령이 있다. 신재효가 조선 후기에 판소리를 집대성하여 여섯 마당을 확립하였다.
  • 판소리는, 韓國의 傳統的民俗藝能. 19 世紀에 朝鮮에서 人氣가 있던 音樂이며, 口承文藝의 하나이다. 1名의 歌手(소릿꾼)와 太鼓의 演奏者(鼓手)에 依해서 演奏되는 이야기性이 있는 노래와 打樂器의 演奏이다. 판소리의 판은,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場所를 意味해한다. 2008年, 판소리는 國際聯合敎育科學文化機構의 無形文化遺産에 登錄되었다.
  • 판소리(パンソリ,pansori )는 민속악의 한 갈래다. 부채를 든 1명의 창자(唱者)가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창(소리)·아니리(사설)·발림(몸짓)을 섞어가며 이야기를 엮어가는 극적 음악이다. 본래는 〈춘향가〉·〈심청가〉·〈수궁가〉·〈흥보가〉·〈적벽가〉·〈변강쇠타령〉·〈배비장타령〉·〈옹고집타령〉·〈강릉매화타령〉·〈무숙이타령〉(왈자타령)·〈장끼타령〉·〈가짜신선타령〉(또는 〈숙영낭자전〉을 들기도 함) 등 12마당이었으나, 현재는 〈춘향가〉·〈심청가〉·〈수궁가〉·〈적벽가〉·〈흥보가〉 5마당만이 전한다. 판소리의 기원에 관해서는 1. * 무가(巫歌) 기원설, 2. * 광대 소학지희(笑謔之戱) 기원설, 3. * 중국 강창문학(講唱文學) 기원설, 4. * 독서성(讀書聲) 기원설, 5. * 육자배기토리 기원설, 6. * 판놀음 기원설 등이 있다.
dcterms:subject
dbkwik:ko.legal/pr...iPageUsesTemplate
abstract
  • 판소리(또는 소리)는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는 한국 음악의 형식 중 하나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 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또한 2003년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판소리 공연은 광대와 고수, 그리고 청중이 같이 한다. 광대가 창을 하는 동안 고수는 장단을 맞춰 준다. 장단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엇모리, 휘모리 등이 있다. 광대는 창 사이사이에 창으로 되어 있지 않는 설명조의 말인 '아니리'를 넣기도 한다. 광대는 한 손에 부채나 손수건을 들고 몸짓으로 이야기의 상황을 표현하기도 한다. 청중은 조용히 듣고 있기보다는 추임새를 넣어줘 흥을 돋궈준다. 판소리의 기원설은 무가 기원설, 육자배기 토리설, 광대 기원설이 있다. 판소리는 18세기 초에 발달하여 19세기 말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작품으로 크게 열두 마당이 있었으나 그중 다섯 마당인 수궁가, 심청가, 적벽가, 춘향가, 흥보가만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그밖에도 여러 타령이 있다. 신재효가 조선 후기에 판소리를 집대성하여 여섯 마당을 확립하였다.
  • 판소리는, 韓國의 傳統的民俗藝能. 19 世紀에 朝鮮에서 人氣가 있던 音樂이며, 口承文藝의 하나이다. 1名의 歌手(소릿꾼)와 太鼓의 演奏者(鼓手)에 依해서 演奏되는 이야기性이 있는 노래와 打樂器의 演奏이다. 판소리의 판은,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場所를 意味해한다. 2008年, 판소리는 國際聯合敎育科學文化機構의 無形文化遺産에 登錄되었다.
  • 판소리(パンソリ,pansori )는 민속악의 한 갈래다. 부채를 든 1명의 창자(唱者)가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창(소리)·아니리(사설)·발림(몸짓)을 섞어가며 이야기를 엮어가는 극적 음악이다. 본래는 〈춘향가〉·〈심청가〉·〈수궁가〉·〈흥보가〉·〈적벽가〉·〈변강쇠타령〉·〈배비장타령〉·〈옹고집타령〉·〈강릉매화타령〉·〈무숙이타령〉(왈자타령)·〈장끼타령〉·〈가짜신선타령〉(또는 〈숙영낭자전〉을 들기도 함) 등 12마당이었으나, 현재는 〈춘향가〉·〈심청가〉·〈수궁가〉·〈적벽가〉·〈흥보가〉 5마당만이 전한다. 판소리의 기원에 관해서는 1. * 무가(巫歌) 기원설, 2. * 광대 소학지희(笑謔之戱) 기원설, 3. * 중국 강창문학(講唱文學) 기원설, 4. * 독서성(讀書聲) 기원설, 5. * 육자배기토리 기원설, 6. * 판놀음 기원설 등이 있다. 무가 기원설은 판소리가 일반적으로 육자배기토리권(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남부, 경상도 서부)의 무가와 유사한 점이 많은 데 근거한다. 특히 무가의 담당층, 음악적 특성, 소재, 삽입 가요 등에서 광범위한 동질성이 발견되기 때문에 대개 판소리의 음악은 무가에서 발생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반면 판놀음 기원설은 무가와 판소리의 계면조가 육자배기토리라고 하는 선율의 공통성은 인정되지만, 판소리의 공연양식적 특성을 더욱 중요시해, 판소리의 선행 공연양식을 찾으려는 노력 속에서 제기된 것이다. 판놀음은 조선 후기에 전문적인 놀이꾼들이 돈을 받고 벌이던 놀이인데, 판소리는 바로 이 판놀음의 주요 구성 주체인 창우(倡優) 집단의 광대소리와 성음(聲音)·장단·조(調)·공연방식·공연자편성·사설양식·사설 율조 등이 비슷하다는 것이다. 판놀음 기원설은 무가기원설을 근본적으로 부정하지 않으면서 이를 더욱 구체화시킴으로써, 무가기원설에서 설명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여 유력한 가설로 여겨지고 있다. 판소리의 형성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대체로 17세기경 남도지방에서 서민 청중들을 대상으로 서서히 부상했을 것으로 짐작되며, 적어도 18세기말까지는 판소리가 제 모습을 완전하게 갖추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대에 활동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소리꾼은 하한담(하은담)·최선달·우춘대 등이다. 19세기에 판소리는 양반 청중들을 대상으로 전성기를 맞았는데, 19세기 전반기를 '전기 8명창시대'라 하고 19세기 후반기를 '후기 8명창시대'라고 한다(→ 명창). 권삼득·모흥갑·김성옥·송흥록·염계달·고수관·신만엽·김제철·황해천·주덕기·방만춘·송광록 등 전기 8명창들은 각기 특색 있는 창법과 선율을 개발하여 양반들의 감성과 미의식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려 했으며, 각 지역의 민요 선율을 판소리에 담아냄으로써 판소리의 표현력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박유전·박만순·이날치·김세종·송우룡·정창업·정춘풍·장자백 등 후기 8명창들은 전기 8명창들의 음악적 업적을 계승하고 이를 다듬어 다양한 더늠[長技]을 창출했다. 이 시기에 박유전에 의해 보다 서민적인 감성에 충실한 서편제 소리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판소리는 더욱 다양하고 강한 흥행성을 띤 예술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마침내 19세기 후반에 판소리는 왕실에까지 침투하게 되고, 고종과 흥선대원군으로부터 많은 창자들이 벼슬을 받기도 했다. 19세기부터 판소리의 주요청중이 양반으로 바뀌면서 이전의 서민의식은 상당히 수정되었다. 덕분에 판소리는 사설·음악·무대 등에서 진경을 이루었으나, 민중적 현실인식과 반봉건적 예술적 심화나 문제의식은 일정하게 수정되어 얼마간은 봉건적 의식의 개입까지도 허용하는 굴절을 겪었다. 조선 고종 때의 판소리 작가 신재효(申在孝:1812~84)는 중인 출신으로서 판소리 광대를 적극 후원하면서, 양반들의 미의식을 매개로 판소리의 개작을 시도했는데, 이때 판소리 6마당의 사설집과 〈성조가 成造歌〉·〈광대가〉 등의 창작 단가들이 만들어졌다. 20세기는 '전기 5명창 시대'로 일컬어진다. 그당시 활동한 명창들은 박기홍·전도성·김창환·이동백·김창룡·김채만·정정렬 등이다. 이때는 국권상실과 급격한 서구화의 충격으로 판소리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마침내는 사멸의 길로 들어서게 된 시기이다. 이 시기 판소리는 무대예술로 변화했다. 1902년 서양식 극장인 원각사가 세워지고, 판소리가 이 공연무대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극적 요소가 강한 창극이 탄생했다. 또한 유성기의 출현으로 판소리의 향수방식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본래 광대는 남자들이 하던 것이었는데 신재효의 제자 진채선이 최초의 여창이 된 이후 허금파·강소춘·이화중선·박녹주 등 여창이 다수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으로 판소리의 소리·발림 등이 여성화되기도 했다. 8·15해방 후 판소리는 여성 국극단의 등장으로 한때 흥행에 성공하기도 했으나 판소리 명창들이 창극에 참여하면서 판소리는 점점 쇠퇴해, 1960년대에는 완전히 몰락하게 되었다. 판소리의 몰락 이후 정부의 정책적 지원으로 1964년부터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제5호)이 시작되었다. 국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소생의 계기를 맞은 판소리는, 1970년대 이후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지식인·학생 들에 의해 그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