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dbkwik:resource/erLERwImpAQ3Qaw644RKuw==   Sponge Permalink

An Entity of Type : owl:Thing, within Data Space : 134.155.108.49:8890 associated with source dataset(s)

AttributesValues
rdfs:label
  • 연나라 장성
rdfs:comment
  • 연나라 장성의 수축과 위치 뻗어간 방향(走向)에 관하여 《사기(史記) · 흉노열전(匈奴列傳)》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연나라는 또 조양(造陽)으로부터 양평(襄平)에 이르기까지 장성(長城)을 쌓고 상곡(上谷) · 어양(漁陽) · 우북평(右北平) · 요서(遼西) · 요동군(遼東郡)의 여러 군을 두어 오랑캐를 막았다. 연나라 장성의 위치 및 그 주향(走向: 방향)에 관해서 《사기(史記) · 조선 열전(朝鮮列傳)》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조선왕 만(滿)은 원래 연(燕)나라 사람이었다. 연(燕)나라가 전성할 때로부터 일찍이 진번(眞番) · 조선(朝鮮)을 공략하여 복속시키고 관리를 두고 장새(障塞: 요새)를 구축했다. 진(秦)나라가 연(燕)나라를 멸망시키매, 조선은 요동 국경 밖의 요새에 속하게 되었다. 그 후 한(漢)나라가 일어나 그곳이 너무 먼 곳에 있어 지키기가 어려우므로 요동의 옛 요새를 다시 수리하고 패수(浿水)까지만 경계로 삼아 연(燕)에 소속시켰다."
dcterms:subject
abstract
  • 연나라 장성의 수축과 위치 뻗어간 방향(走向)에 관하여 《사기(史記) · 흉노열전(匈奴列傳)》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연나라는 또 조양(造陽)으로부터 양평(襄平)에 이르기까지 장성(長城)을 쌓고 상곡(上谷) · 어양(漁陽) · 우북평(右北平) · 요서(遼西) · 요동군(遼東郡)의 여러 군을 두어 오랑캐를 막았다. 연나라 장성의 위치 및 그 주향(走向: 방향)에 관해서 《사기(史記) · 조선 열전(朝鮮列傳)》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조선왕 만(滿)은 원래 연(燕)나라 사람이었다. 연(燕)나라가 전성할 때로부터 일찍이 진번(眞番) · 조선(朝鮮)을 공략하여 복속시키고 관리를 두고 장새(障塞: 요새)를 구축했다. 진(秦)나라가 연(燕)나라를 멸망시키매, 조선은 요동 국경 밖의 요새에 속하게 되었다. 그 후 한(漢)나라가 일어나 그곳이 너무 먼 곳에 있어 지키기가 어려우므로 요동의 옛 요새를 다시 수리하고 패수(浿水)까지만 경계로 삼아 연(燕)에 소속시켰다." 《북변비대(北邊備對)》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옛날부터 장성을 쌓아 북쪽의 오랑캐를 막으려 한 것이 4왕조대이니 연(燕) · 조(趙) · 진(秦) · 수(隋)이다. 진(秦)나라 제도는 연(燕) · 조(趙)를 답습하는 것이 많았으며, 수씨(隋氏: 수나라)는 진나라처럼 그렇게 완전하지 못했다." 《진태강삼년지기(晉太康三年地記)》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진(秦)나라의 요새는 오원(五原)으로부터 북쪽 9백 리(어떤 책에서는 9리로 된 것도 있는데 오기이다) 이곳을 조양(造陽)이라고 하며, 동쪽으로 가서 이분산(利賁山) 남쪽을 거쳐 가는데 한양(漢陽) 서쪽에 있는 것이 바로 이곳이요, 한(漢)은 어떤 책에서는 어양(漁陽)으로 썼다."고 하였다.
Alternative Linked Data Views: ODE     Raw Data in: CXML | CSV | RDF ( N-Triples N3/Turtle JSON XML ) | OData ( Atom JSON ) | Microdata ( JSON HTML) | JSON-LD    About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RDF Data] Valid XHTML + RDFa
OpenLink Virtuoso version 07.20.3217, on Linux (x86_64-pc-linux-gnu), Standard Edition
Data on this page belongs to its respective rights holders.
Virtuoso Faceted Browser Copyright © 2009-2012 OpenLink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