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 - 유교(儒敎, Confucianism)는 중국 춘추 시대 말 공자(기원전 551경~479경)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을 종교적 관점에서 이르는 말이다. 유교는 시조 공자의 이름을 따서 공교(孔敎)라고도 한다. 공자가 창시하여 맹자·순자로 계승되어 온 유교는 한(漢) 무제(武帝)와 동중서(董仲舒)에 의해 국가적인 이데올로기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유교는 공자가 만든 중국의 대표적인 사상으로, 남을 사랑하고 어질게 행동하는 것을 최고의 이념으로 삼았다. 유학을 종교적인 관점에서 이르는 말로 삼강오륜을 덕목으로 하였다. 유교의 역사 흔히 한국사상에 대해 논할 때 고대의 삼국시대에는 불교를,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언명하지만, 실제로 유교가 전래된 것은 그보다 훨씬 이르다. 유교의 전래는 일반적으로 고구려 소수림왕 2년 (372) 태학을 설립하면서 부터이다. 고구려의 유교 공자의 사상으로 집대성된 유교사상이 부분적으로 전래한 시기는 서기전 3세기의 위만조선과 한사군시대로 추정되며, 공자의 경학사상이 본격적으로 수입되고 활용된 것은 삼국시대이다. 삼국 이전에도 한사군에 근접한 지역은 중국의 유교 윤리와 흡사한 예속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삼한시대에는 외부의 영향이 적었으며, 읍락(邑落)이 잡거(雜居)하였다 태조 이성계의 정책 중 친명 정책은 명나라와 친선을 도모하였고 숭유 억불 정책은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억압하였으며 농본 정책은 농업을 국가 경제의 근본으로 삼았다. 조선의 도읍지를 개성에서 한양으로 천도하였다. 종묘는 조선 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유교 건축물이다. 사적 제125호로 지정되었으며, 1995년에 세계 유산으로도 지정받아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종묘는 동양의 유교 정신이 가장 적절하게 구현된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종묘의 모든 것은 유교식 절차에 따른다. 우리나라 며느님들 시댁 들어가서 사시는 것도 유교이고, 제사 지내는 것도 유교이고, 시댁을 우선으로 챙기는 것도 유교이다. 분류:종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