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간보(井間譜)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된 기보법의 하나이다. 조선 세종 때 만들어 쓰던 기보법으로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실린 것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이것은 동양 최고(最古)의 유량악보이다. 정간보법은 시가(時價)만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음의 높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율자보 혹은 오음약보·육보 등을 섞어 쓴다. 정간(井間)이라고 부르는 네모진 칸의 수효 및 차지하는 공간의 넒이로 음의 길이(時價)를 나타낸다. 1박인 음은 1정간으로, 2박인 음은 2정간으로 나타내되 차지하는 정간들의 첫 정간에만 음표를 한다. 쉼표는 세모꼴(三角形)로 나타내고 쉼표의 길이만큼 정간을 차지한다. 한 박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음은 전간을 나누어 음표를 한다. 한국음악에는 3분박자가 많으므로 정간은 3등분 혹은 6등분으로 나누어 음표를 하는 경우가 많다. 1/3박은 3등분, 1/6박은 6등분하여 음표를 한다(보표예 3). 음에 꾸밈음(裝飾音)이 붙을 때는 그 종류에 따라 음표에 여러 가지 기호(記號)를 덧붙인다. 한 장단은 한 행으로 나타내는데 16박이 한 장단인 음악은 16정간이 한 행이 되고, 6박이 한 정간인 음악은 6정간이 한 행이 된다. 고악보를 보면 세종실록 악보엔 32정간 한 행으로 되었고 그 밖의 많은 악보엔 16정간 한 행이 일반적인 예이다. 행은 몇 개로 구분을 하여 강(綱)이 되는데 고악보의 16정간은 3·2·3·3·2·3정간으로 구분하여 제1강부터 제6강까지 6개의 강으로 나누어져 있다.
정간보 (井間譜)는 조선 세종 때 창안된 동양 최초의 유량악보(有量樂譜)이다. 정간보 (井間譜)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된 기보법 의 하나이다. 그 모양이 바둑판처럼 생겨서 마치 우물 정(井)자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간(間)은 음의 길이를 나타낸다. 조선시대에 세종대왕이 창안한 우리의 소리를 표현한 것으로 한 정간을 한 박으로 하고 그 안에 율명을 넣어 음의 고저와 박자를 표시한 것이다. 음길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우리 나라 최초의 악보 이여 세종대왕께서 만드셨다. 네모 한 칸을 정간이라고 한다. 한 장단 안에는 칸이 12개이다. 굵은 선은 4개, 굵은 선 안에는 3개의 정간이 들어있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같은 율명을 쓰고 있으나, 일본은 일부의 율명 표기가 다르다. 박자를 따라서 세면서 악보를 외우면 무작정 외우는 것보다는 훨씬 쉽게 외워지는 것 같다. 창작음악에 정간보를 쓰는 경우가 없지 않지만, 정간보를 쓰자고 주장하는 이는 없다. 정간보 악보를 볼 때는 한자로 되어 있어 처음에는 낯설었지만 차차 익숙해진다. 분류:음악사
정간보(井間譜)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된 기보법의 하나이다. 조선 세종 때 만들어 쓰던 기보법으로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실린 것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이것은 동양 최고(最古)의 유량악보이다. 정간보법은 시가(時價)만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음의 높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율자보 혹은 오음약보·육보 등을 섞어 쓴다. 정간(井間)이라고 부르는 네모진 칸의 수효 및 차지하는 공간의 넒이로 음의 길이(時價)를 나타낸다. 1박인 음은 1정간으로, 2박인 음은 2정간으로 나타내되 차지하는 정간들의 첫 정간에만 음표를 한다. 쉼표는 세모꼴(三角形)로 나타내고 쉼표의 길이만큼 정간을 차지한다. 한 박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음은 전간을 나누어 음표를 한다. 한국음악에는 3분박자가 많으므로 정간은 3등분 혹은 6등분으로 나누어 음표를 하는 경우가 많다. 1/3박은 3등분, 1/6박은 6등분하여 음표를 한다(보표예 3). 음에 꾸밈음(裝飾音)이 붙을 때는 그 종류에 따라 음표에 여러 가지 기호(記號)를 덧붙인다. 한 장단은 한 행으로 나타내는데 16박이 한 장단인 음악은 16정간이 한 행이 되고, 6박이 한 정간인 음악은 6정간이 한 행이 된다. 고악보를 보면 세종실록 악보엔 32정간 한 행으로 되었고 그 밖의 많은 악보엔 16정간 한 행이 일반적인 예이다. 행은 몇 개로 구분을 하여 강(綱)이 되는데 고악보의 16정간은 3·2·3·3·2·3정간으로 구분하여 제1강부터 제6강까지 6개의 강으로 나누어져 있다.
정간보 (井間譜)는 조선 세종 때 창안된 동양 최초의 유량악보(有量樂譜)이다. 정간보 (井間譜)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된 기보법 의 하나이다. 그 모양이 바둑판처럼 생겨서 마치 우물 정(井)자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간(間)은 음의 길이를 나타낸다. 조선시대에 세종대왕이 창안한 우리의 소리를 표현한 것으로 한 정간을 한 박으로 하고 그 안에 율명을 넣어 음의 고저와 박자를 표시한 것이다. 음길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우리 나라 최초의 악보 이여 세종대왕께서 만드셨다. 네모 한 칸을 정간이라고 한다. 한 장단 안에는 칸이 12개이다. 굵은 선은 4개, 굵은 선 안에는 3개의 정간이 들어있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같은 율명을 쓰고 있으나, 일본은 일부의 율명 표기가 다르다. 박자를 따라서 세면서 악보를 외우면 무작정 외우는 것보다는 훨씬 쉽게 외워지는 것 같다. 창작음악에 정간보를 쓰는 경우가 없지 않지만, 정간보를 쓰자고 주장하는 이는 없다. 정간보 악보를 볼 때는 한자로 되어 있어 처음에는 낯설었지만 차차 익숙해진다. 분류:음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