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fs:comment
| - 무장 읍성은 전북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의 사적 제346호이다. 조선시대에 축조된 무장지역의 읍성이다. 무장지역은 고려시대까지 ‘무송’과 ‘장사’ 두 고을이었는데, 1417년(태종 17) 왜구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비하기 위하여 두 고을을 합치고 각 이름의 첫 자를 떼어 ‘무장’이라 하고 성과 관아를 새로 마련하였다. 이 읍성은 당시 병마사 김서래가 그 해 2월부터 5월까지 4개월간 전라도 여러 고을에서 장정과 승려 2만 여명을 동원하여 쌓은 것인데, 둘레 1,470척, 높이 7척의 성벽을 쌓고, 성 위에 높이 1척 짜리 여장 471개를 만들고, 옹성을 갖춘 남문과 동·북문을 세웠으며, 성벽 밖으로는 둘레 2,127척의 해자를 파서 견고히 하였다. 이후 성은 더욱 넓혀 축조되었던 듯하니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둘레가 2,639척(약 800m)이라 하였다. 현재의 읍성은 사두봉이라 부르는, 남북으로 길다란 구릉을 중심으로 하여 평원을 마름모꼴에 가깝게 네모지게 성벽이 감싸고 있다. 그동안 이 성은 흙으로만 축조된 토성으로 알려져 왔으나 조사 결과 돌과 흙을 섞어 축조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레가 대략 1.2 km이고 성벽은 바깥의 돌이 흙 속에 묻힌 채 높이 1~2m로 확연하게 남아 있으며, 너비 4m, 길이 574m의 해자가 남아 있다. 남문인 진무루가 있으며, 성 안에는 옛 고을의 풍모를 알 수 있는 객사와 동헌, 그리고 조선시대의 각종 건물터와 사직단·여단·성황단 등의 터전이 그대로 남아 있다. 객사는 송사관이라 하여 옛‘무송’과 ‘장사’의 끝 자를 따서 이름지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의 읍성으로는 그 유례를
|
abstract
| - 무장 읍성은 전북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의 사적 제346호이다. 조선시대에 축조된 무장지역의 읍성이다. 무장지역은 고려시대까지 ‘무송’과 ‘장사’ 두 고을이었는데, 1417년(태종 17) 왜구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비하기 위하여 두 고을을 합치고 각 이름의 첫 자를 떼어 ‘무장’이라 하고 성과 관아를 새로 마련하였다. 이 읍성은 당시 병마사 김서래가 그 해 2월부터 5월까지 4개월간 전라도 여러 고을에서 장정과 승려 2만 여명을 동원하여 쌓은 것인데, 둘레 1,470척, 높이 7척의 성벽을 쌓고, 성 위에 높이 1척 짜리 여장 471개를 만들고, 옹성을 갖춘 남문과 동·북문을 세웠으며, 성벽 밖으로는 둘레 2,127척의 해자를 파서 견고히 하였다. 이후 성은 더욱 넓혀 축조되었던 듯하니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둘레가 2,639척(약 800m)이라 하였다. 현재의 읍성은 사두봉이라 부르는, 남북으로 길다란 구릉을 중심으로 하여 평원을 마름모꼴에 가깝게 네모지게 성벽이 감싸고 있다. 그동안 이 성은 흙으로만 축조된 토성으로 알려져 왔으나 조사 결과 돌과 흙을 섞어 축조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레가 대략 1.2 km이고 성벽은 바깥의 돌이 흙 속에 묻힌 채 높이 1~2m로 확연하게 남아 있으며, 너비 4m, 길이 574m의 해자가 남아 있다. 남문인 진무루가 있으며, 성 안에는 옛 고을의 풍모를 알 수 있는 객사와 동헌, 그리고 조선시대의 각종 건물터와 사직단·여단·성황단 등의 터전이 그대로 남아 있다. 객사는 송사관이라 하여 옛‘무송’과 ‘장사’의 끝 자를 따서 이름지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의 읍성으로는 그 유례를 보기 어려운 확실한 연혁을 가지고 있어 학술적·역사적 중요성이 매우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