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행성 또는 위성이 뒤에 있는 항성(드물게는 행성)을 가리는 성식(星蝕)이 있는데, 이것을 엄폐라 한다. 내행성(수성 ·금성)이 태양면의 일부를 가리는 일면통과(日面通過)도 식현상의 일종이다. 일식과 월식 이외에도 달에 의해서 일어나는 항성식, 행성식 등이 있고 수성, 금성 등의 내행성이 태양면을 지나가면서 일어나는 일면통과현상 역시 식의 한 종류이다. 목성의 위성식(衛星蝕)도 옛날부터 관측되었다. 1631년 11월 7일에는 수성 일면통과(日面通過)지구에서 볼때 내행성이 태양면을 통과하는 현상이 있었는데 이때 작은 흑점이 태양을 지나가는 것처럼 보였다. 외합(내행성-태양-지구) 합(외행성-태양-지구) 충(외행성-지구-태양) 내합과 외합에 의한 행성 직렬은 빈도수가 많은 반면, 합이나 충에 의한 행성 직렬은 그 대상 행성의 수가 많아질수록 빈도수가 적다. 내합 때 일면통과 현상이 발생한다. 분류:행성
내행성 또는 위성이 뒤에 있는 항성(드물게는 행성)을 가리는 성식(星蝕)이 있는데, 이것을 엄폐라 한다. 내행성(수성 ·금성)이 태양면의 일부를 가리는 일면통과(日面通過)도 식현상의 일종이다. 일식과 월식 이외에도 달에 의해서 일어나는 항성식, 행성식 등이 있고 수성, 금성 등의 내행성이 태양면을 지나가면서 일어나는 일면통과현상 역시 식의 한 종류이다. 목성의 위성식(衛星蝕)도 옛날부터 관측되었다. 1631년 11월 7일에는 수성 일면통과(日面通過)지구에서 볼때 내행성이 태양면을 통과하는 현상이 있었는데 이때 작은 흑점이 태양을 지나가는 것처럼 보였다. 외합(내행성-태양-지구) 합(외행성-태양-지구) 충(외행성-지구-태양) 내합과 외합에 의한 행성 직렬은 빈도수가 많은 반면, 합이나 충에 의한 행성 직렬은 그 대상 행성의 수가 많아질수록 빈도수가 적다. 내합 때 일면통과 현상이 발생한다. 분류:행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