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금은 현악기의 하나로, 혜금(嵆琴)으로 쓰기도 하며 깡깡이라고도 부릅니다. 활대로 현과 현 사이를 문질러서 소리를 내는데요 해금은 울림통 위에 대나무를 세운 다음, 명주실로 만든 현 2줄을 걸어 만듭니다. 원래 중국에서 당·송나라 이후 속악(俗樂)에 쓰이던 것이 한국에는 고려시대에 들어와 향악에 사용되어 왔다. 큰 대의 밑뿌리와 해묵고 마디가 촘촘한 오반죽(烏斑竹)을 재료로 몸통을 만들고 여기에 줄을 두 가닥 연결하였다. 말총으로 만든 활을 안줄과 바깥줄 사이에 넣고 문질러서 소리를 내는데, 울림통과 두 줄을 연결하고 있는 것이 원산(遠山:북쇠)으로 이것의 위치에 따라 음량의 크기가 달라진다. 해금엔 일정한 음자리가 없이 다만 줄을 잡는 손의 위치와 줄을 당기는 강약에 따라 음높이가 정해진다.
해금은 현악기의 하나로, 혜금(嵆琴)으로 쓰기도 하며 깡깡이라고도 부릅니다. 활대로 현과 현 사이를 문질러서 소리를 내는데요 해금은 울림통 위에 대나무를 세운 다음, 명주실로 만든 현 2줄을 걸어 만듭니다. 원래 중국에서 당·송나라 이후 속악(俗樂)에 쓰이던 것이 한국에는 고려시대에 들어와 향악에 사용되어 왔다. 큰 대의 밑뿌리와 해묵고 마디가 촘촘한 오반죽(烏斑竹)을 재료로 몸통을 만들고 여기에 줄을 두 가닥 연결하였다. 말총으로 만든 활을 안줄과 바깥줄 사이에 넣고 문질러서 소리를 내는데, 울림통과 두 줄을 연결하고 있는 것이 원산(遠山:북쇠)으로 이것의 위치에 따라 음량의 크기가 달라진다. 해금엔 일정한 음자리가 없이 다만 줄을 잡는 손의 위치와 줄을 당기는 강약에 따라 음높이가 정해진다. 해금은 현악기이면서도 관악합주에 반드시 편성되어 관악기와 현악기와의 균형을 유지하며, 또 삼현육각을 비롯해 궁중음악의 편성에는 물론 민속악 전반과 무용 반주악에서도 피리·대금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가락악기이다. 근대에는 해금산조와 신곡(新曲)의 독주악기로도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또 국악기 제작의 8가지 재료인 8음을 모두 갖춘 악기는 이 해금뿐이다. 분류:호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