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HTML5 document contains 6 embedded RDF statements represented using HTML+Microdata notation.

The embedded RDF content will be recognized by any processor of HTML5 Microdata.

PrefixNamespace IRI
n3http://dbkwik.webdatacommons.org/ontology/
dctermshttp://purl.org/dc/terms/
n2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OEbSp5GCPERkXXAXUKGwg==
n7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PJsOIE8RCB5X2_JqGduLIg==
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
n8http://dbkwik.webdatacommons.org/ko.music/property/
n9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t7RA94oKg689RVK9bfJdPg==
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n5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LqZym3tx2J8NluEevbeGJg==
xsdhhttp://www.w3.org/2001/XMLSchema#
Subject Item
n2:
rdfs:label
고집저음
rdfs:comment
고집저음(固執低音)은 저음이 같은 선율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대신 위 성부의 화성과 선율이 바뀌면서 음악이 진행하게 된다. 바로크 시대의 음악에서 많이 쓰였으며, 잘 알려진 예로 파헬벨의 카논이 있다. 파사칼리아도 비슷한 형식이지만, 저음에 있던 선율이 위 성부로 올라갈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dcterms:subject
n5: n7:
n8:wikiPageUsesTemplate
n9:
n3:abstract
고집저음(固執低音)은 저음이 같은 선율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대신 위 성부의 화성과 선율이 바뀌면서 음악이 진행하게 된다. 바로크 시대의 음악에서 많이 쓰였으며, 잘 알려진 예로 파헬벨의 카논이 있다. 파사칼리아도 비슷한 형식이지만, 저음에 있던 선율이 위 성부로 올라갈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