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HTML5 document contains 5 embedded RDF statements represented using HTML+Microdata notation.

The embedded RDF content will be recognized by any processor of HTML5 Microdata.

PrefixNamespace IRI
n5http://dbkwik.webdatacommons.org/ontology/
dctermshttp://purl.org/dc/terms/
n7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sbycHVOIIPCR-wotUkhC_g==
n2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HGZugQUQK4V_3GgFZs4XQA==
n4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qeB48os8e4PX9acrxOViFw==
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
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xsdhhttp://www.w3.org/2001/XMLSchema#
Subject Item
n2:
rdfs:label
영강 (고구려)
rdfs:comment
영강(永康)은 삼국시대의 연호로 고구려에서 사용된 연호로 추정된다. 1946년 평양에서 발굴된 금동광배(金銅光背) 뒷면의 명문에서 발견되었다. 명문에는 ‘永康七年’이라는 연호가 나타나 있으나 간지 부분이 마멸되어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영강을 연호로 사용한 중국 왕조들은 많이 있지만 7년을 넘게 사용한 왕조는 서진(西秦) 왕조 뿐인데, 고구려에서 이 왕조의 연호를 사용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기 때문에 중국의 연호가 아닌 고구려에서 사용된 연호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광배의 양식과 마멸된 간지 부분의 자형 추정을 토대로 396년, 5세기 전반, 418년, 483년, 551년 등 다양한 연대가 추정되고 있다.
dcterms:subject
n4: n7:
n5:abstract
영강(永康)은 삼국시대의 연호로 고구려에서 사용된 연호로 추정된다. 1946년 평양에서 발굴된 금동광배(金銅光背) 뒷면의 명문에서 발견되었다. 명문에는 ‘永康七年’이라는 연호가 나타나 있으나 간지 부분이 마멸되어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영강을 연호로 사용한 중국 왕조들은 많이 있지만 7년을 넘게 사용한 왕조는 서진(西秦) 왕조 뿐인데, 고구려에서 이 왕조의 연호를 사용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기 때문에 중국의 연호가 아닌 고구려에서 사용된 연호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광배의 양식과 마멸된 간지 부분의 자형 추정을 토대로 396년, 5세기 전반, 418년, 483년, 551년 등 다양한 연대가 추정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