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HTML5 document contains 5 embedded RDF statements represented using HTML+Microdata notation.

The embedded RDF content will be recognized by any processor of HTML5 Microdata.

PrefixNamespace IRI
dctermshttp://purl.org/dc/terms/
n6http://dbkwik.webdatacommons.org/ontology/
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
n3http://dbkwik.webdatacommons.org/ko.gravity/property/
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n8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QLee9Jcbr397cajZikZTHg==
n2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NQ5tWQ3uBXwhbhLkgsnJJA==
n4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wyhdkWhBSroeeg61A3f4jg==
xsdhhttp://www.w3.org/2001/XMLSchema#
Subject Item
n2:
rdfs:label
커 계량
rdfs:comment
커 계량(Kerr metric), 커 해(Kerr solution) 또는 커 블랙홀 해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정확한 해의 하나로, 진공 중에서 안정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대해 대칭적인 블랙홀에 대해 표현한다. 뉴질랜드의 수학자 로이 커에 의해 1963년에 발견되었다. 커 계량, 시간병진, 회전에 대한 두 개의 같은 값을 가진다. 페트로프의 분류에 따르면, 커 계량은 D형에 속한다. 직후에 더욱더 전하를 띤 커-뉴먼 계량도 발견되어, 각운동량, 질량, 전하의 3개의 매개변수를 가지는 블랙홀 해로, 그 후 일반 상대성 이론이 그리는 시공간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커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의 바깥쪽에는 회전의 영향으로 인해 작용권이라는 공간이 형성된다. 작용권보다 먼 곳에 있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보면 작용권의 표면에서는 광자가 회전의 역방향으로 방사되어 한 점에 머무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작용권의 안쪽에서 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방사되는 광자는 회전의 순방향으로 끌려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심의 특이점은 고리 모양으로 되어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dcterms:subject
n8:
n3:wikiPageUsesTemplate
n4:
n6:abstract
커 계량(Kerr metric), 커 해(Kerr solution) 또는 커 블랙홀 해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정확한 해의 하나로, 진공 중에서 안정된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대해 대칭적인 블랙홀에 대해 표현한다. 뉴질랜드의 수학자 로이 커에 의해 1963년에 발견되었다. 커 계량, 시간병진, 회전에 대한 두 개의 같은 값을 가진다. 페트로프의 분류에 따르면, 커 계량은 D형에 속한다. 직후에 더욱더 전하를 띤 커-뉴먼 계량도 발견되어, 각운동량, 질량, 전하의 3개의 매개변수를 가지는 블랙홀 해로, 그 후 일반 상대성 이론이 그리는 시공간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커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의 바깥쪽에는 회전의 영향으로 인해 작용권이라는 공간이 형성된다. 작용권보다 먼 곳에 있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보면 작용권의 표면에서는 광자가 회전의 역방향으로 방사되어 한 점에 머무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작용권의 안쪽에서 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방사되는 광자는 회전의 순방향으로 끌려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심의 특이점은 고리 모양으로 되어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대머리 정리에 따라 각운동량, 질량, 전하라는 세 개의 물리량만을 갖는 커-뉴먼 블랙홀도 진지하게 생각되고 있다. 스티븐 호킹은 중력으로 인해 고립된 계로서의 블랙홀과 열역학에서 유추하여 블랙홀 열역학을 구축했다. 거기에서는 블랙홀의 면적은 엔트로피에 대응하여 항상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