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HTML5 document contains 7 embedded RDF statements represented using HTML+Microdata notation.

The embedded RDF content will be recognized by any processor of HTML5 Microdata.

PrefixNamespace IRI
n8http://dbkwik.webdatacommons.org/ontology/
dctermshttp://purl.org/dc/terms/
n5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JvLeodj6eV22gYjal0zGA==
n7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r_71DBWQ7DnEXUG2alHM_Q==
n10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ULaffobpkqaju3prmeITHA==
n2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TvgMf_Lq96AZcQo13pXzRA==
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
n6http://dbkwik.webdatacommons.org/ko.gravity/property/
n4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YDFYlh7mqLQnL6a-QFAduQ==
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xsdhhttp://www.w3.org/2001/XMLSchema#
Subject Item
n2:
rdfs:label
섀클턴 충돌구
rdfs:comment
섀클턴 충돌구는 달의 분화구이다. 스미소니언 협회의 과학자들이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세계 최대의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달의 북극과 남극에 있는 분화구에 얼음이 없는 것 같 다는 판정을 내렸다고 2003년 11월 네이처 잡지는 전했다. 이 연구를 주도한 스미소니언협회의 브루스 캠벌은 "분화구들의 거친 경사진 표면이 강한 반사를 내보내고 있는 것이지 얼 음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들 과학자는 달의 그늘진 지역의 20%를 관찰했는데 섀클턴이라 불리는 한 분 화구는 미 달 탐사선 클레멘타인에서 나온 것과 유사한 강한 반향이 있었으나 달의 음지진 부분이 아닌 분화구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고 뉴사이언티스트 닷 콤이 인터 넷에서 보도했다. 에러버스 산 정상에 최초로 오른 섀클턴 탐험대(1908~1909년)도 모두 산록에서‘화영(火影) 현상’을 여러 번 보았다. 1914년 영국 탐험가 어니스트 섀클턴이 남극탐험에 이용한 배의 이름은 인듀어런스였다. 섀클턴은 다시 남극탐험을 준비하던 1922년1월 5일 사우스 조지아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1. * 넘겨주기
dcterms:subject
n4: n5: n10:
n6:wikiPageUsesTemplate
n7:
n8:abstract
섀클턴 충돌구는 달의 분화구이다. 스미소니언 협회의 과학자들이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세계 최대의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달의 북극과 남극에 있는 분화구에 얼음이 없는 것 같 다는 판정을 내렸다고 2003년 11월 네이처 잡지는 전했다. 이 연구를 주도한 스미소니언협회의 브루스 캠벌은 "분화구들의 거친 경사진 표면이 강한 반사를 내보내고 있는 것이지 얼 음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들 과학자는 달의 그늘진 지역의 20%를 관찰했는데 섀클턴이라 불리는 한 분 화구는 미 달 탐사선 클레멘타인에서 나온 것과 유사한 강한 반향이 있었으나 달의 음지진 부분이 아닌 분화구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고 뉴사이언티스트 닷 콤이 인터 넷에서 보도했다. 이들 과학자는 그러나 달에 얼음이 있을 가능성을 완전 배제하지는 않고 2005년 탐사에 나서는 유럽 우주국의 스마트-1의 달 탐사에서 추가 정보가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있다고 말했다. 캠벌도 달에 우주선을 착륙시켜 얼음이 있는지 탐사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이 계획을 2004년 미 항공우주국(NASA)에 제출할 예정이다. 캠벌은 "달의 양극 지역에 얼음이 있다면 마지막 남은 탐사 방법은 직접 가서 먼 지 주변에 있는 소량을 녹여 질량 분광기로 물을 찾아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 탐험가들은 달에 대량의 얼음이 있을 경우 얼음 지역이 인간의 달 탐험을 위한 기지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있었다. 에러버스 산 정상에 최초로 오른 섀클턴 탐험대(1908~1909년)도 모두 산록에서‘화영(火影) 현상’을 여러 번 보았다. 1914년 영국 탐험가 어니스트 섀클턴이 남극탐험에 이용한 배의 이름은 인듀어런스였다. 섀클턴은 다시 남극탐험을 준비하던 1922년1월 5일 사우스 조지아섬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1. * 넘겨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