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HTML5 document contains 9 embedded RDF statements represented using HTML+Microdata notation.

The embedded RDF content will be recognized by any processor of HTML5 Microdata.

PrefixNamespace IRI
n12http://dbkwik.webdatacommons.org/ontology/
dctermshttp://purl.org/dc/terms/
n2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Zs76wkfoOHeS53PTC3ek-A==
n4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LZWJMJ6QcJVF0olFVVBeKQ==
n7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ZXKH8CtKFEEvEterycPc8Q==
n9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uigh0Gkeja6tfpGQFKbKRQ==
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
n11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sxDWzZwcZ5FBtBpIft3q5w==
n3http://dbkwik.webdatacommons.org/ko.gravity/property/
n5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_v_qRJwU6TnugSk_NWHCMw==
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n10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ktYviZXZsnAS1lH2fwSNSw==
xsdhhttp://www.w3.org/2001/XMLSchema#
Subject Item
n2:
rdfs:label
쌍성
rdfs:comment
[[그림:Sirius A and B Hubble photo.jpg|right|250px|thumb|허블 우주망원경의 시리우스 사진. 시리우스 B(아래 왼쪽)를 구분할 수 있다.]] 쌍성(雙星) 또는 연성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주위로 공전하는 항성계이다. 항성계에서 가장 밝은 별을 주성이라고 하며, 주성보다 어두운 다른 별(들)을 동반성, 반성 또는 짝별이라 부른다. 그러나 어두운 별을 기준으로 할 때 밝은 별을 동반성, 반성, 짝별로 부를 수도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다수의 별들이 다연성계에 속한다. 쌍성계는 천체물리학에 있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이들의 상호 궤도를 관측하면 이들의 질량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개개의 별들의 질량은 쌍성으로부터의 추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쌍성은 광학적 '이중성'과는 다른데, 이중성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서로 가까와 보이는 것으로, 중력으로 묶여있지 않을 수 있다. 쌍성은 광학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안시쌍성), 분광학과 같은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쌍성이 시선방향을 포함한 궤도를 공전하면 이들은 식을 일으키는데, 이들을 식쌍성이라고 한다.
dcterms:subject
n7: n10:
n3:wikiPageUsesTemplate
n4: n5: n9: n11:
n12:abstract
[[그림:Sirius A and B Hubble photo.jpg|right|250px|thumb|허블 우주망원경의 시리우스 사진. 시리우스 B(아래 왼쪽)를 구분할 수 있다.]] 쌍성(雙星) 또는 연성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주위로 공전하는 항성계이다. 항성계에서 가장 밝은 별을 주성이라고 하며, 주성보다 어두운 다른 별(들)을 동반성, 반성 또는 짝별이라 부른다. 그러나 어두운 별을 기준으로 할 때 밝은 별을 동반성, 반성, 짝별로 부를 수도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다수의 별들이 다연성계에 속한다. 쌍성계는 천체물리학에 있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이들의 상호 궤도를 관측하면 이들의 질량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개개의 별들의 질량은 쌍성으로부터의 추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쌍성은 광학적 '이중성'과는 다른데, 이중성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서로 가까와 보이는 것으로, 중력으로 묶여있지 않을 수 있다. 쌍성은 광학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안시쌍성), 분광학과 같은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쌍성이 시선방향을 포함한 궤도를 공전하면 이들은 식을 일으키는데, 이들을 식쌍성이라고 한다. 다중성으로 알려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된 계(系)는 비교적 흔하며, 같은 명칭으로 분류된다. 쌍성계의 별들은 질량을 교환하여 단독성이 홀로 다다를 수 없는 형태로 진화하기도 한다. 쌍성계의 예로는 알골(식쌍성), 시리우스, 고니자리 X-1(한쪽 별이 블랙홀로 의심된다.) 등이 있다. 두 별이 매우 가까이 붙어있는 것을 근접쌍성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