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HTML5 document contains 9 embedded RDF statements represented using HTML+Microdata notation.

The embedded RDF content will be recognized by any processor of HTML5 Microdata.

PrefixNamespace IRI
n6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b5YF-jBt19p82xHYDCWnBw==
n8http://dbkwik.webdatacommons.org/ontology/
dctermshttp://purl.org/dc/terms/
n4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L_xBA_A56Ypw5NsNMWqB3Q==
n2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oBpL-GhOhIXhuPC-sbPlqw==
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
n5http://dbkwik.webdatacommons.org/ko.gravity/property/
n10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b3TzrsOKjlY0llza7LDAiA==
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n7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KE8yJnNEeq2m022ggV2XXA==
n11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UvsItJbf_F_VVPgFfCMmfA==
n9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zBMNYZ0nIxgr-8UZ-64uNQ==
xsdhhttp://www.w3.org/2001/XMLSchema#
Subject Item
n2:
rdfs:label
골드스톤 정리
rdfs:comment
골드스톤 정리(Goldstone Theorem)를 따르면 파이온은 0의 질량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예측 될 것이다. 골드스톤 정리의 예외는 와인버그 살람 모형과 같이 깨진 게이지 이론에서 그 경우를 볼 수 있다. 다체계에서 골드스톤 보존은 집단 들뜸이다. 초대칭이 깨지면서 골드스톤 입자가 발생한다. 초대칭은 페르미온적 대칭이므로, 골드스톤 입자는 페르미온이다. 이를 골드스티노라고 부른다. 깨지는 대칭이 연속적인 대칭이라면, 이에 따라 이론은 무한한 수의 진공을 가진다. 예를 들어 와 같은 U(1) 대칭의 경우, 진공은 와 같이 연속적으로 분포한다. 이런 경우 골드스톤 정리에 따라 이론은 무질량 스칼라 보존 (난부-골드스톤 보존)을 가진다. 만약 깨지는 대칭이 전반적 (global) 대칭이 아니라 게이지 대칭이라면, 이 난부-골드스톤 보존은 관측할 수 없고, 대신 게이지 보존에 질량을 준다. 분류:초대칭 분류:스톤 분류:골드 분류:정리 분류:골드스티노
dcterms:subject
n4: n7: n9: n10: n11:
n5:wikiPageUsesTemplate
n6:
n8:abstract
골드스톤 정리(Goldstone Theorem)를 따르면 파이온은 0의 질량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예측 될 것이다. 골드스톤 정리의 예외는 와인버그 살람 모형과 같이 깨진 게이지 이론에서 그 경우를 볼 수 있다. 다체계에서 골드스톤 보존은 집단 들뜸이다. 초대칭이 깨지면서 골드스톤 입자가 발생한다. 초대칭은 페르미온적 대칭이므로, 골드스톤 입자는 페르미온이다. 이를 골드스티노라고 부른다. 깨지는 대칭이 연속적인 대칭이라면, 이에 따라 이론은 무한한 수의 진공을 가진다. 예를 들어 와 같은 U(1) 대칭의 경우, 진공은 와 같이 연속적으로 분포한다. 이런 경우 골드스톤 정리에 따라 이론은 무질량 스칼라 보존 (난부-골드스톤 보존)을 가진다. 만약 깨지는 대칭이 전반적 (global) 대칭이 아니라 게이지 대칭이라면, 이 난부-골드스톤 보존은 관측할 수 없고, 대신 게이지 보존에 질량을 준다. 분류:초대칭 분류:스톤 분류:골드 분류:정리 분류:골드스티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