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HTML5 document contains 5 embedded RDF statements represented using HTML+Microdata notation.

The embedded RDF content will be recognized by any processor of HTML5 Microdata.

PrefixNamespace IRI
n7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aAsdITM8q_Le8-24N1MzIQ==
n4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epDMuJk3He2wCxndjrC0aQ==
n8http://dbkwik.webdatacommons.org/ontology/
dctermshttp://purl.org/dc/terms/
n6http://dbkwik.webdatacommons.org/ko.history/property/
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
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n2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rzYmFKLlH30SqghLKp48rg==
xsdhhttp://www.w3.org/2001/XMLSchema#
Subject Item
n2:
rdfs:label
충렬왕
rdfs:comment
충렬왕 [忠烈王, 1236(고종 23)~1308(충렬왕 34)]은 고려 제25대 왕(1274~1308 재위)이였다. 이름은 거(昛). 초명은 심(諶)·춘(賰). 원종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순경태후(順敬太后:樞密院副使 金若先의 딸)이다. 원 황실과 처음으로 통혼한 고려왕으로 원 세조 쿠빌라이의 사위이다. 스스로 자청해서 고려왕 원종은 자신의 세자(후의 충렬왕)가 몽골/원나라 세조(쿠빌라이 칸)의 딸과 결혼하게 애걸하여서 결국 결혼하게 만든다.충렬왕은 원종과 정순왕후 김씨 사이의 맏아들로 1236년 2월에 태어났다. 그는 1267년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1272년에 원나라로 갔다. 제국대장공주는 고려 충렬왕의 비로 이름 홀도로게리미실(忽都魯揭里迷失)이다. 원나라 세조(世祖)의 딸이며 어머니 아속진가돈(阿速眞可敦)이였다. 1274년(원종 15) 원나라에 가 있던 세자 심(諶:忠烈王)과 결혼하여 같은 해 즉위한 충렬왕을 따라 고려에 왔다. 사족 출신 인물들의 천한 신분 출신 관리들에 대한 비난은 결국 충렬왕의 정책에 대한 비판과 다를 바 없었다. 충렬왕 24년 충선왕의 즉위는 이후 왕위계승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한 것이었다. 1. * 넘겨주기
dcterms:subject
n4:
n6:wikiPageUsesTemplate
n7:
n8:abstract
충렬왕 [忠烈王, 1236(고종 23)~1308(충렬왕 34)]은 고려 제25대 왕(1274~1308 재위)이였다. 이름은 거(昛). 초명은 심(諶)·춘(賰). 원종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순경태후(順敬太后:樞密院副使 金若先의 딸)이다. 원 황실과 처음으로 통혼한 고려왕으로 원 세조 쿠빌라이의 사위이다. 스스로 자청해서 고려왕 원종은 자신의 세자(후의 충렬왕)가 몽골/원나라 세조(쿠빌라이 칸)의 딸과 결혼하게 애걸하여서 결국 결혼하게 만든다.충렬왕은 원종과 정순왕후 김씨 사이의 맏아들로 1236년 2월에 태어났다. 그는 1267년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1272년에 원나라로 갔다. 제국대장공주는 고려 충렬왕의 비로 이름 홀도로게리미실(忽都魯揭里迷失)이다. 원나라 세조(世祖)의 딸이며 어머니 아속진가돈(阿速眞可敦)이였다. 1274년(원종 15) 원나라에 가 있던 세자 심(諶:忠烈王)과 결혼하여 같은 해 즉위한 충렬왕을 따라 고려에 왔다. 사족 출신 인물들의 천한 신분 출신 관리들에 대한 비난은 결국 충렬왕의 정책에 대한 비판과 다를 바 없었다. 일본 정벌을 위한 동로군(東路軍)을 파견하였으나 태풍으로 큰 피해를 입고 패퇴했으며, 1281년(충렬왕 7)에도 김방경(金方慶) 등이 원나라 병사와 더불어 제2차 일본 정벌에 나섰으나 역시 실패하였다. 충렬왕 24년 충선왕의 즉위는 이후 왕위계승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한 것이었다. 충렬왕 때 성균감으로 충선왕 때 성균관으로 국립교육기관으로서의 요람 역할을 했다. 1. * 넘겨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