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HTML5 document contains 10 embedded RDF statements represented using HTML+Microdata notation.

The embedded RDF content will be recognized by any processor of HTML5 Microdata.

PrefixNamespace IRI
n9http://dbkwik.webdatacommons.org/ontology/
dctermshttp://purl.org/dc/terms/
n11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aBI5GSidlkVk7HWiN0nl6g==
n8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ObUeuTcKJh7nnF3DY2_Dqw==
n13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bItg97KNFeAH8RyAh-bE2w==
n10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UDoTgTc6DcOBsu-HB6Q2aw==
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
n2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v94T0rVyZIwDdtmW9ilGtQ==
n3http://dbkwik.webdatacommons.org/ko.gravity/property/
n4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jGNnu-Y7U1ODJgHlZhsUgA==
n6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kXCp2xu6SxJgPtZtJ4nmGw==
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n12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mDYEQkPDr4dSI7kTA4FqVQ==
xsdhhttp://www.w3.org/2001/XMLSchema#
Subject Item
n2:
rdfs:label
트리톤 (위성)
rdfs:comment
트리톤(Triton 또는 Neptune I, 그리스어: Τρίτων) 또는 트라이튼은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이고, 태양계에서 가장 차가운 천체의 하나이다. 또 복잡한 지질학적 역사를 갖고 있으며 비교적 젊은 표면을 갖고 있다고 믿어진다. 해왕성이 발견된 후, 단지 17일 후인 1846년 10월 10일 윌리엄 라셀에 의해 발견되었다. 해왕성(海王星)의 알려진 위성들 가운데 가장 큰 위성. 지름은 2,735㎞로서 지구의 위성인 달의 지름보다 수백㎞ 작다. 트리톤은 해왕성에서 35만 4,450㎞ 떨어진 역행궤도(逆行軌道)를 공전한다. 해왕성의 역사승 중력인자 0.2307을 곱하면 지름은 631km이다. 처음에 천문학자들은 트리톤에도 운석 구덩이가 많은 등, 태양계 내의 다른 대부분의 위성들과 비슷한 특징을 가졌으리라고 생각했다.
dcterms:subject
n6: n12:
n3:wikiPageUsesTemplate
n4: n8: n10: n11: n13:
n9:abstract
트리톤(Triton 또는 Neptune I, 그리스어: Τρίτων) 또는 트라이튼은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이고, 태양계에서 가장 차가운 천체의 하나이다. 또 복잡한 지질학적 역사를 갖고 있으며 비교적 젊은 표면을 갖고 있다고 믿어진다. 해왕성이 발견된 후, 단지 17일 후인 1846년 10월 10일 윌리엄 라셀에 의해 발견되었다. 해왕성(海王星)의 알려진 위성들 가운데 가장 큰 위성. 지름은 2,735㎞로서 지구의 위성인 달의 지름보다 수백㎞ 작다. 트리톤은 해왕성에서 35만 4,450㎞ 떨어진 역행궤도(逆行軌道)를 공전한다. 해왕성의 역사승 중력인자 0.2307을 곱하면 지름은 631km이다. 처음에 천문학자들은 트리톤에도 운석 구덩이가 많은 등, 태양계 내의 다른 대부분의 위성들과 비슷한 특징을 가졌으리라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