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HTML5 document contains 5 embedded RDF statements represented using HTML+Microdata notation.

The embedded RDF content will be recognized by any processor of HTML5 Microdata.

PrefixNamespace IRI
n6http://dbkwik.webdatacommons.org/ontology/
n7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b2RHnUZUKJS-ub279tHcbQ==
dctermshttp://purl.org/dc/terms/
n4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URaMaWSAHnyxT6vdKj7PiA==
rdfshttp://www.w3.org/2000/01/rdf-schema#
n2http://dbkwik.webdatacommons.org/resource/xOIOxHhw2DGDbd9HRU3T9Q==
rdfhttp://www.w3.org/1999/02/22-rdf-syntax-ns#
xsdhhttp://www.w3.org/2001/XMLSchema#
Subject Item
n2:
rdfs:label
이광
rdfs:comment
이광(중국어 간체: 李广, 정체: 李廣, 병음: Li Kuang - 기원 전 119년)은 중국 전한시대의 장군. 문제, 경제, 무제를 삼 대에 걸쳐 수행하였다. 이장군(李將軍) 광(廣)은 농서군(隴西郡) 성기현(成紀縣) 사람이다. 이광의 선조 이신(李信)은 진나라 때 장군으로 왕전과 함께 연나라를 멸망시키고 태자 단을 잡았다. 흉노는 이광의 지략을 두려워했다. 사졸들 또한 이광의 휘하에서 종군하는 것을 즐겨하고, 정불식의 휘하에서 종군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했다. 기원 전 166년, 흉노 정벌에 공을 세워, 낭이 되어 문제의 옆에서 장군으로 수행했다. 맹수를 사냥을 할 때 근접전에서 죽이는 무용을 보이자 문제는 「고조부 때 태어났으면 만호후(萬户侯)가 되었을 것이다……」라고 말하게 했다. 경제 때는 효기도위에 임명되었고, 주아부 아래에서 오초칠국의 난을 진압하는 공적을 세웠다. 다만 양왕 무의 장군으로 참전했기 때문에, 한나라에서는 공적을 인정받을 수 없었다. 후에 상곡 태수, 상군 태수가 되었다. 그 때에 10배가 넘는 흉노군에 포위되었지만, 일부러 복병이 있는 것처럼 느긋하게 후퇴하자, 흉노군은 추격을 포기하고 돌아갔다. 그 후, 농서, 북지, 안문, 운중 태수(모두 한의 북변에서 흉노에게 가깝다)를 역임한다. 당시 흉노들에게 비장군은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그 후로도 무용이 뛰어난 무장을 이광을 모방해 비장군으로 불리는 일이 많았는데, 후한 말기의 무장 여포도 비장군으로 불렸다.
dcterms:subject
n4: n7:
n6:abstract
이광(중국어 간체: 李广, 정체: 李廣, 병음: Li Kuang - 기원 전 119년)은 중국 전한시대의 장군. 문제, 경제, 무제를 삼 대에 걸쳐 수행하였다. 이장군(李將軍) 광(廣)은 농서군(隴西郡) 성기현(成紀縣) 사람이다. 이광의 선조 이신(李信)은 진나라 때 장군으로 왕전과 함께 연나라를 멸망시키고 태자 단을 잡았다. 흉노는 이광의 지략을 두려워했다. 사졸들 또한 이광의 휘하에서 종군하는 것을 즐겨하고, 정불식의 휘하에서 종군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했다. 기원 전 166년, 흉노 정벌에 공을 세워, 낭이 되어 문제의 옆에서 장군으로 수행했다. 맹수를 사냥을 할 때 근접전에서 죽이는 무용을 보이자 문제는 「고조부 때 태어났으면 만호후(萬户侯)가 되었을 것이다……」라고 말하게 했다. 경제 때는 효기도위에 임명되었고, 주아부 아래에서 오초칠국의 난을 진압하는 공적을 세웠다. 다만 양왕 무의 장군으로 참전했기 때문에, 한나라에서는 공적을 인정받을 수 없었다. 후에 상곡 태수, 상군 태수가 되었다. 그 때에 10배가 넘는 흉노군에 포위되었지만, 일부러 복병이 있는 것처럼 느긋하게 후퇴하자, 흉노군은 추격을 포기하고 돌아갔다. 그 후, 농서, 북지, 안문, 운중 태수(모두 한의 북변에서 흉노에게 가깝다)를 역임한다. 당시 흉노들에게 비장군은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그 후로도 무용이 뛰어난 무장을 이광을 모방해 비장군으로 불리는 일이 많았는데, 후한 말기의 무장 여포도 비장군으로 불렸다. 한무제 때는 그를 천거하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위위에 승진했다. 무제가 마 읍에 흉노를 유인하여 공격하려고 했을 때에는, 효기장군으로 종군했지만 공적은 세우지 못했다. 기원 전 129년 흉노와의 싸움에 패해 포로가 되었다. 그 후 탈출하여 장안으로 돌아왔지만, 죄를 추궁 당해 평민으로 강등당했다. 이후 우북평 태수로 복귀하여, 낭중령으로 옮겼다. 흉노와 자주 전투를 벌였지만 좋은 전과를 얻지 못하고, 기원 전 119년 흉노 침공 때에는 고령을 이유로 배제되었다. 이광은 격렬하게 항의해 간신히 참전이 허용되었다. 그러나 무제의 밀명을 받은 대장군 위청에 의해서 후방인 익수의 군으로 돌려졌다. 이광은 불복하여 다른 방면에서 진군 했지만, 우연히 길 안내가 없었기 때문에, 길을 잃어 흉노와의 싸움에 늦어 버렸다. 위청이 그것에 대해서의 보고서를 보내려고 이광의 부하를 힐문하자, 이광은 담담히 「나는 성인이 되고 나서 흉노와 크고 작은 전투를 70여 차례 치렀다. 이번에도 위청대장군을 따라서 선우의 군사와 싸울 수 있을 기회를 가졌지만, 대장군 위청이 나를 후방 부대로 돌렸기 때문에 길을 잃고 우회를 하는 처지가 되었다. 이것이 천명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라고 외치고, 그대로 스스로 목을 베어 죽었다. 이 소식을 들은 이광의 부하 장교는 물론이고, 백성들도 남녀노소 없이 울었다고 한다. 분류:한무제 분류:광명